과학 영재아의 특성(特性)과 창의성 교육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10-22 15:30
본문
Download : 과학 영재아의 특성과 창의성 교육.hwp
이들 세 요소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3고리(3 ring)로 그릴 수 있다아
이 definition 의 주목할 점은 처음으로 ‘project 집착력’과 같은 비지적 요인을 영재성의 한 요소로 포함시켰다는 점이다.
I. 과학 영재아의 property(특성)과 영재 교육의 실제
(1) SEM이란 무엇인가?
(2) Renzulli 교수의 ‘영재’ definition
(3) SEM의 실제
(4) 우리 교육에의 시사점
II. 창의성 교육
(1) 창의성이란?
(2) 창의성 교육의 실제
(2) Renzulli 교수의 ‘영재’ definition
Renzulli는 실제로 사회에서 뛰어난 공헌을 한 사람들은 예외 없이 다음의 세 가지 property(특성)을 지니고 있다고 했다. 실제로 에디슨의 지능지수가 대단히 높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위대한 발명을 했음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이는 영재 판별의…(drop)
과학 영재아의 특성(特性)과 창의성 교육
과학 영재아의 특성(特性)과 영재 교육 및 창의성 교육에 마주향하여 작성했습니다.
가. average(평균) 이상의 지적 능력(Above Average Ability)
Renzulli는 웩슬러 지능검사로 측정(measurement)하였을 때, 지능 지수(IQ)가 약 115 이상이면 충분히 영재교육의 대상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즉 극단적으로 높을 필요는 없는 ‘average(평균) 이상의 지적능력(IQ)’, ‘뛰어난 창의성’, ‘강한 project 집착력’들이다. 지능이 높다고 해서 반드시 공부를 잘하거나 특정 영역에서 뛰어난 성취를 이루지는 않는다. 한 property(특성)에서는 적어도 상위 2% 이내에 속해야 하지만 나머지 property(특성)에서는 상위 15% 이내면 된다는 것이다.
순서
과학 영재아의 특성과 영재 교육 및 창의성 교육에 대해서 작성했습니다.
Renzulli는 영재는 이 세 요소를 모두 갖추고 있어야 하지만 이 세 가지 property(특성)에서 모두 대단히 뛰어나야 할 필요는 없다고 강조하였다.
이들 세 영역에 대상으로하여 구체적으로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창의성교육 , 과학 영재아의 특성과 창의성 교육경영경제레포트 ,
,경영경제,레포트
설명
레포트/경영경제






Download : 과학 영재아의 특성과 창의성 교육.hwp( 16 )
창의성교육
다.
그러므로 영재를 선발할 때 무조건 지능이 매우 높은 아이들만을 대상으로 하여야 한다는 생각은 바꿀 필요가 있다아 영재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program]) 을 실시하고자 할 때에 누구를 그 프로그램(program]) 에 참여시킬 것인 지를 결정하는 최적의 선정 방법이 아직까지는 개발되지 못한 관계로 세계 각국은 영재를 판별할 때 편의상 또는 경제적인 이유로 지능 검사만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가 적지 않다. 일반적으로 지능이 높을수록 대단히 뛰어난 성취를 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어왔다. 그러나 Renzulli는 average(평균)이상 정도의 지적 능력이면 뛰어난 성취를 하기에 충분하다고 강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