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철학]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종합적 비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1-10 18:51본문
Download : 플라톤아리스종합적비교.hwp
소크라테스에게 있어 인간적 지혜의 유일한 존재이유는 인간의 최대사(最大事)를 묻는 일에 있는데, 이 물음은 그 최대사가 아직 무엇인지 모른다는 사실을 아는, 무지(無知)의 자각에서만 가능한 것이다. 플라톤은 우주이 물질현상은 바로 정다면체의 기하학적 도형이라고 주장했다.
설명
Download : 플라톤아리스종합적비교.hwp( 87 )
그리스 로마 철학사, 철학과 현실사, 코플스톤 저(역자: 김보편)
순서
3.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에 대한 비교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본문
고대의 철학자들 , 아리스토텔레스 편, 영명culture사(최 성 길 外)
[교육철학]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종합적 비교
아테네 출생. 명문(名門) 출신으로 젊었을 때는 정치를 지망하였으나, 소크라테스가 사형되는 것을 보고 정계에 대한 미련을 버리고 인간 존재의 참뜻이 될 수 있는 것을 추구, philosophia(愛知:철학)를 탐구하기 스타트하였다. 이는 그의 이데아 사상 속에서 볼 수 있다아 플라톤 철학에서는 참으로 보는 것은 육안(肉眼)이 아니라 영혼의 눈으로 볼 수 있는 형상을 의미한다. 이데아는 대개의 경우 `자체`라는 말을 붙여 `미(美) 자체`, `선(善) 자체`라고 말하는데 이는 보편적인 명사(名辭)가 있을 때 그 명사를 의미하는 보편자(普遍者)가 이데아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플라톤의 제자 아리스토텔레스가 이데아설(說)을 비판할 때 가한 해석인데, 그 뒤에도 이 해석이 답습되어 이데아는 보편槪念의 실체화 또는 槪念실재론이라 하여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 따라서 그것은 아이데스(보이지 않는 것)라고 불리며, 이성(理性)만이 파악할 수 있는 영원불변하고 단일한 세계를 이루어, 끊임없이 변천하는 잡다한 감각세계의 사물과는 구별된다.
플라톤의 사상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에 대해 알아보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구체적으로 살펴본 자료입니다. 불은 정4면체, 공기는 정8면체, 물은 정20면체, 흙은 정 6면체로 이루어져 있다고 말했다.그러나 이데아론의 참뜻은 소크라테스의 애지(愛知) 속에 그 연원(淵源)이 있다고 생각된다. B. C. 385년경 아테네의 근교에, 영웅 아카데모스를 모신 신역(神域)에 학원 아카데메이아(Akademeia)를 개설하고 각지에서 청년들을 모아 연구와 교육생활에 전념하는 사이 80에 이르렀다. `선(善)의 이데아`나 `미(美)의 이데아`는 이와 같은 이데아의 전형이다.
reference
수학을 중시하는 플라톤의 태도는 4원소를 가장 간단한 입체모형으로 설명(說明)하는 소위 `기하학적 원자론`에서 더욱 분명하게 나타난다. 애지는 이 근원적인 물음이며, 이데아란 이 애지가 끊임없이 근원적인 물음을 할 때 돌연히 나타나는 것이며, 묻는 자의 존재를 포함하여 이 세계 일체의 존재를 되물어 오는 진리 그 자체의 시현의 모습인 것이다.
1.플라톤의 사상
2.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
고대의 철학자들 , 플라톤 편, 영명culture사(최 성 길 外)
4.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종합적 비교
*목차*
플라톤은 타마이오스(Timaeos)에서 자연세계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제시했다. 공들여 작성한 자료인만큼 많은 도움되실겁니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이해, 고려원, D.J앨런(역자: 김낙원)
다. 그는 피타고라스의 영향을 받아 수학적 기하학적 모형을 중시했는데 이는 이 아카데메이아의 정문에 `기하학을 모르는 자는 이 문을 들어서지 말라`고 썼다는 것을 보아도 알 수 있다아
플라톤의 사상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에 대해 알아보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구체적으로 살펴본 data(資料)입니다. 정다면체는 4개가 아니고 5개이기 때문에 또 하나의 원소가 있어야 하는데 제5원소는 정12면체이며 이는 하늘을 구성하는 원소라고 말했다. 그는 태초의 혼돈으로부터 우주를 만들었는데 될 수 있으면 선하고 아름답고, 지적으로 만족스럽게 만들었다.
5.두 사상가에 대한 물음
생성하는 감각세계의 사물은 이데아를 본떠 이루어지는 것이지만, 그것은 진실한 존재가 아니고, 이데아야말로 진실한 존재, 즉 우시아[實有]이며, 궁극의 진실을 추구하는 애지(愛知), 즉 필로소피아(철학)의 궁극의 목적이다.
공들여 작성한 data(資料)인만큼 많은 도움되실겁니다. 플라톤의 자연관은 조물주가 우주를 만들기 전에 이미 원래 재료가 있었으며, 그것에 대상으로하여는 조물주도 어찌할 수 없다는 점에서 기독교 창조설과 차이가 난다. 전체적으로 플라톤의 자연관은 목적론적 경향을 띠고 있다아 플라톤에 의하면 조물주는 무질서에서 아주 지적인 설계에 의해 합리적이고 조화와 질서를 갖추도록 세계를 계획적으로 만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