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별성 및 사적 영역의 부차화- {설봉산}의 경우 -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7-11 11:52본문
Download : 개별성 및 사적 영역의 부차화- {설봉산}의 경우 -.hwp
레포트/감상서평
{설봉산}(1956)은 북한 문단에서 양대산맥의 하나로 거론되는 한설야의 후기 대표작에 속한다. 함경도 지역의 농민의 투쟁은 동북만주와 지역적인 연계성을 가진다는 것, 이것을 바탕으로 농민문학이 민족문학으로 연결, 상승한다는 것, 그리하여 {설봉산}이 민족문학의 공백을 메꾸었다는 점 등이 지적되고 있다 물론 작품의 이러한 성취에 한계를 덧붙이기를 잊지 않는…(省略)
,감상서평,레포트
개별성 및 사적 영역의 부차화- {설봉산}의 경우 -
I. 머리말{설봉산}(1956)은 북한 문단에서 양대산맥의 하나로 거론되는 한설야의 후기 대표작에 속한다. 이 연구는 소설적 전망을 동북만주의 무장투쟁과 작품의 무대인 군내의 농민의 투쟁이 연결되면서 확보된 것으로 파악한다. 작품의 적극적 측면을 보다 강조하고 있는 임헌영, 김윤식의 연구와, 작품의 부정적인 측면에 대한 비판을 포함하는 오현주, 김재영의 연구가 그것인데 이 중 김윤식과 김재영의 연구가 주목할 만하다. 이 작품은 북한 문학사에서는 ...






Download : 개별성 및 사적 영역의 부차화- {설봉산}의 경우 -.hwp( 75 )
I. 머리말
{설봉산}(1956)은 북한 문단에서 양대산맥의 하나로 거론되는 한설야의 후기 대표작에 속한다. 이 작품은 북한 문학사에서는 ... , 개별성 및 사적 영역의 부차화- {설봉산}의 경우 -감상서평레포트 ,
설명
I. 머리말
순서
다. 이 작품에 대한 평가는 크게 두 부류로 나누어 볼 수 있을 듯하다. 이 작품은 북한 문학사에서는 거론이 안 된 지 오래된 듯하나 우리 학계에서는 80년대말 해금 조치 이후에 나름의 주목을 받기 처음 했다. 김윤식 교수는 [한설야론]에서 한설야 문학의 특질로 귀향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했다는 점과 자신의 과거에 대한 기억감각에 의존해서 썼다는 점을 들면서, 후자에서 한계를 드러내는 부분이 없지 않지만 민족문학적 특징을 잘 보여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