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제서양음악사 정리 (중세 - 바로크)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5-24 16:21본문
Download : 포스트 제서양음악사 정리 (중세 - 바로크).hwp
왜냐하면 바로크 시대는 서양음악사에 있어서 매우 의미있는 전환기 였기 때문일것이다
물론 전환이 되는 시점이 여러 시기에 존재하지만
서양음악사를 두동강 내라고 한다면
개인적으로 바로크를 기준으로 잡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포스트 제서양음악사 정리 (중세 - 바로크)
`1` 개요 - 서양음악사 요점 (중세 - 바로크)
서양음악사에서 바로크시대를 이해하는 것은 굉장히 중요하다.
고음악 (Early Music)
- 16c
바로크 (Baroque)
오페라의 등장,
가사 전달의 필요성(必要性)
좁은 의미의 클래식
18c후반 -
Monophony -` Polyphony
Monody 양식
(통주저음, 숫자저음)
Homophony
대위법 (수평적 음악)
화성학 (수직적 음악)
피타고라스 음계, 순정률,
선법
가온음률, mean or average(평균) 율
mean or average(평균) 율
조성음악
즉흥적
작곡가 = 연주자
17c 오선기보법 등장
형식적(악보중심)
작곡과와 연주자의 분리
모드리듬, 동질서리듬
,15c 탁투스 리듬
탁투스 리듬, 층계강약
18c 단계적 강세박자 등장
단계적…(省略)
순서
Download : 포스트 제서양음악사 정리 (중세 - 바로크).hwp( 60 )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설명
포스트 제서양음악사 정리 (중세 - 바로크)
포스트 제서양음악사 정리 (중세 - 바로크) , 포스트 제서양음악사 정리 (중세 - 바로크)예체능레포트 , 포스트 제서양음악사 정리 중세 바로크
레포트/예체능
포스트,제서양음악사,정리,중세,바로크,예체능,레포트
다.
바로크와 그 이전의 음악을 배제 시킨 상황에서는 분명 아버지 라는 표현을 쓸 수 있겠지만
서양음악사를 통째로 본다면 아마도
바흐는 `음악의 아버지`가 아니라 `음악의 예수님`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맞지 않을까 싶다.
J.S. Bach는 바로크시대에 있어서도 조금 유별난 작곡가였는데
그는 그 시대에 몸담고 그 시대의 음악을 하고 있기는 하였지만
다른 작곡가와는 달리 옛 음악의 끈을 놓지 않고 있었기 때문일것이다
이런 점에서 볼때 바흐를 음악의 아버지라고 부르는 것은 반 쪽의 歷史에만 해당하는 것 같다.
아래 표는 도식적으로 바로크 시대의 과도기성을 부곽시키기 위해서 만든 것일 뿐
각 시기의 단절성을 나타내고자 한 것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