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1학기 고급일본어활용 중간시험과제課題물 공통(화자의 기분을 나타내는 종조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03 17:56본문
Download : 20191중과_일본4_고급일본어활용_공통.zip
구체적으로 어떤 감정이나 기분을 나타내는지 예문을 들어 설명을하시오
④ なあ
다. 구체적으로 어떤 감정이나 기분을 나타내는지 예문을 들어 설명(explanation)하시오.
(1) 다음은 화자(말하는 이)의 기분을 나타내는 종조사이다. 「よ」의 기본적인 기능은 청자가 모르는 것에 주의를 갖게 하는 것에 있다고 말할 수 있다아
방송통신 > 중간과제물
① よ
① よ
「よ」는 반드시 사용해야만 하는 경우는 없고, 임의적인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아 그러나, (1)이나 (2)와 같은 경우, 사용하는 편이 좋고, 안정감이 좋은 文이 된다된다. 이것들은 모두 청자가 모르는 것을 이야기하고 있기 때문이다
⑥ 그 밖의 종조사



- 중략 -
설명
Download : 20191중과_일본4_고급일본어활용_공통.zip( 19 )
「よ」는 명령이나 의뢰를 나타내는 문에도 사용되지만, 이 경우, 억양에 따라서 의미에 차이가 있다아
(1) 다음은 화자(말하는 이)의 기분을 나타내는 종조사이다. 구체적으로 어떤 감정이나 기분을 나타내는지 예문을 들어 설명하시오. ① よ ② ね ③ よね ④ なあ ⑤ ぞ ⑥ 그 밖의 종조사 (2) 「∼ないで」와 「∼なくて」를 비교하고, 문법적 기능에서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예문을 제시하고 자세히 서술하시오.
② ね
순서
고급일본어활용,방통대고급일본어활용,방송대고급일본어활용,고급일본어활용과제물,고급일본어활용과제,고급일본어활용레포트
상승 억양을 동반하지 않는 「よ」가 사용되어지는 것은, 상대가 명령이나 의뢰의 내용에 위배되는 행위를 하고 있는 듯한 경우이고, 그것을 책망하는 느낌이 나타난다.
(2) 「∼ないで」와 「∼なくて」를 비교하고, 문법적 기능에서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예문을 제시하고 자세히 서술하시오.
2019년 1학기 고급일본어활용 중간시험과제課題물 공통(화자의 기분을 나타내는 종조사)
⑤ ぞ
③ よね
(1) 다음은 화자(말하는 이)의 기분을 나타내는 종조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