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용자 지향의 文化적 접근을 통한 한국교회 성장 戰略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6 02:10
본문
Download : 수용자 지향의 문화적 접근을 통한 한국교회 성장 전략.hwp
물론 하나님의 주권이나 영광을 칼빈이 한시라도 잊은 법은 없으나 우리가 칼빈의 신학에 있어서 그 중심성을 논할 경우 무엇이 그의 진정한 의도였는가를 찾…(drop)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다.
수용자 지향의 문화적 접근을 통한 한국교회 성장 전략에 대한 글입니다. 크라프크는 하나님과 文化(culture) 를 대립의 관계로 보는 모델, 文化(culture) 안의 하나님의 모델, 文化(culture) 위의 하나님의 모델을 제시한다.
Download : 수용자 지향의 문화적 접근을 통한 한국교회 성장 전략.hwp( 77 )
제 1 장 서론
1. 문제제기
2. 연구배경
3. 연구목적
4. 연구문제의 설정
5. 연구의 중요성
제 2 장 文化(culture) 변동과 선교 : 그 성경적 근거와 배경
1. 애굽에서의 이스라엘 백성
1) 애굽의 환경
2) 이스라엘 백성의 배경
3) 이스라엘 백성의 노예생활
2. 광야에서의 이스라엘 백성
1) 출발; 홍해에서 보여준 세 가지 큰 기적(출 14:1-31)
2) 기적을 통한 훈련
(1) 물을 예비하심 (출 15:22-27)
(2) 만나와 메추라기(출 16:1-36)
(3) 아말렉과의 싸움 (출 17:8-16)
(4) 조직 (출 18:1-27)
3) 율법을 주심 (출 19:3-24:-18, 32:1-34:35)
(1) 십계명을 주심 (출 19:3-20:17)
(2) 율법이 깨짐 (출 24:12-18, 32:1-34:35)
4) 성막 (출 25-31, 35-40장)
5) 불평과 불만에 대한 징계(민 10:11-17, 33:16-19)
6) 가나안 땅의 정찰(민 13-14)
3. 가나안의 이스라엘 백성
1) 진보된 가나안 文化(culture)
2) 축복의 땅
제 3 장 文化(culture) 에 대한 일반적 이해
1. 文化(culture)
1) 文化(culture) 의 定義(정의)
2) 교회文化(culture) 의 定義(정의)
3) 삶에 있어서 文化(culture) 의 중요성
2. 기독교 文化(culture) 관
1) 니버의 文化(culture) 관
2) 웨버의 文化(culture) 관
3) 쉐퍼의 文化(culture) 관
4) 크라프트의 文化(culture) 관
3. 기독교에서 文化(culture) 를 보는 관점
1) 개혁주의 신학의 文化(culture) 관
2) 文化(culture) 에 대한 기독교인의 태도
3) 신자와 文化(culture) 와의 관계
제 4 장 文化(culture) 적 성향과 교회성장의 상관관계
1. 교회성장의 정체와 文化(culture)
1) 정체Cause
2) 정체된 교회文化(culture)
3) 文化(culture) 위임과 교회성장
2. 文化(culture) 변동과 교회성장의 상관관계
1) 기독교 文化(culture) 와 선교와의 관계
2) 교회갱신의 피료썽
3) 文化(culture) 와 교회성장의 관계
제 5 장 수용자지향의 文化(culture) 적 접근을 통한 교회성장책략들
1. 수용자 지향적 예배
2. 수용자 지향적 교제
3. 수용자 지향적 교육
4. 수용자 지향적 봉사
5. 수용자 지향적 전도
6. 수용자 지향적 새신자 양육
7. 수용자 지향적 행정
8. 수용자 지향적 지도력
제 6 장 결 론
참고도서
4) 크라프트의 文化(culture) 관
크라프트는 비기독교인들과 논쟁하는 것 보다 그들의 文化(culture) 가 기독교의 목적을 이루는데 더 유용한 매개물이 될 수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文化(culture) 를 논함에 있어 기독교 종교는 하나님이 창조하시고 타락을 허용하신 인간(죄인)을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믿음으로 구원받게 하는 데에 그 중심진리가 있음을 밝힌다.수용자지향의문화적접근을통한한국교회성장전략 , 수용자 지향의 문화적 접근을 통한 한국교회 성장 전략인문사회레포트 ,
수용자지향의文化적접근을통한한국교회성장戰略
수용자 지향의 文化적 접근을 통한 한국교회 성장 戰略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수용자 지향의 文化적 접근을 통한 한국교회 성장 戰略에 대한 글입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文化(culture) 에 대하여 부정적인 시각으로 본 것에 대하여 반성하고 인간의 권위와 인간의 文化(culture) 업적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자세가 요망된다된다. 니젤리(F. Nigel Lee)는 文化(culture) 에 대해 인간이 자기 안과 밖의 세계를 이용하고 분류하며, 표현함에 있어서 인간의 전체적인 활동에 관한 하나님이 세우신 결과로서 이 활동들은 과거의 전통 위에 세워지며, 또한 현재와 未來의 세대가 사용할 수 있도록 계속 확대되는 것이라고 하였다(전호진 1993:144).
복음주의 文化(culture) 관은 한마디로 긍정적 文化(culture) 관이다. 물론 기독교 종교에 대한 가르침에 접할 때 칼빈의 가르침이 ‘하나님’중심적이란 것은 누구나 받는 첫 인상이다. 이렇게 해서 文化(culture) 에 대한 정체성을 연구하는 것이 되고, 사회과학 전반에 걸쳐 歷史(역사)적 역동성의 맥락을 중요시하는 것이 무엇이며 기독교적 文化(culture) 관이 무엇인가를 파악하는 동기가 된 것이다. 그래서 칼빈주의에서는 흔히 하나님의 주권 혹은 하나님의 영광이 칼빈 신학의 주된 강조점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conclusion 적으로 하나님은 文化(culture) 의 위에 있지만 文化(culture) 를 통해서 일하신다는 모델을 통해 그의 文化(culture) 적 관점을 제시한다(Kraft 1979:103-115).
3. 기독교에서 文化(culture) 를 보는 관점
1) 개혁주의 신학의 文化(culture) 관
개혁주의 신학의 文化(culture) 관은 성경에 나타난 창조론에 기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