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체능 한국만화의 역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5-31 15:19본문
Download : 예체능 한국만화의 역사.hwp
1945. 광복
김용환, [코주부] 연재
코주부는 만화체그림을 사용하여 당시 만화가들의 교과서적인 작품이 되었다.
1952 복사판 만화 [밀림의 왕자] 대인기(복사판 만화의 처음 이라고 할수 있따)
1954 김상옥이 [만화세계] 창간. 성공하면서 만화잡지들이 쏟아져 나온다.
1955 김성환 [고바우] 연재 처음
‘고바우’는 2000년 까지 연재(文化일보)하였으나 작가의 사망으로 연재 중단되었다.
1959 대한 만화가 협회, 현대 만화가 협회
산호, [라이파이] 발표
한국 최초의 SF만화로 많은 인기를 끌었음
※60…(투비컨티뉴드 )
예체능 한국만화의 역사
예체능 한국만화의 역사
다.
순서
레포트/의약보건
예체능,한국만화,역사,의약보건,레포트






Download : 예체능 한국만화의 역사.hwp( 40 )
설명
예체능 한국만화의 역사 , 예체능 한국만화의 역사의약보건레포트 , 예체능 한국만화 역사
한국만화의 역싸
1909 이도영 한국 최초의 만화 발표(대한민보 창간호, 삽화라는 제목)
초기의 만화가들은 지식인들이자 당대의 내노라하는 동양화가들이었고, 그들은 만화의 강력한 호소력을 이용하여 나라를 살리고자 하였다.
※만화 대본들이 생겨나기 처음 , 만화붐이 시들면서 만화 잡지들이 폐간되고 단행본 두께가 얇아 진다.
1910. 한일합방
1914 최초의 잡지만화인 [다음엇지], 새별에 발표.
1920 김동성의 [그림이야기], 4컷 만화 발표 (동아일보 창간호)
※ 1920년이후 만화라는 명칭의 보편화
1924 노수현 [멍텅구리 헛물켜기] (조선일보)
1925 안석주 최초의 아동만화인 [씨동이의 말타기] 발표
동아일보에 [허풍선이 모험기담] 연재등 활발히 활동
[조선만화가 구락부] 결성(한국최초의 만화 관련단체)
1945 김용환 잡지 [렌세이노 도모] 촉탁사원으로 활동
김용환은 비록 친일을 하였으나 우리나라 만화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1946 김용환 최초의 단행본 만화, [토끼와 거북이] 발표.
김용환 주도로 만화 동인회 창립,
시인 김소운 최초의 만화잡지 [만화행진]발행 ` 발매중지되고, 곧 폐간됨 (2호로 종간)
1950. 6.25 전쟁 `전시 중에는 군인용 만화와 심리전용 만화들이 많이 만들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