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1학기 숲과삶 중간시험과제물 B형(개발제한구역 제도의 의미, 바람직한 방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0-17 02:31본문
Download : 20171중과_일본1_숲과삶_B형.zip
이 project물에서는 개발제한구역 제도의 의미를 說明(설명) 하고, 향후 도시의 자연environment 보전을 위해 개발제한구역 제도가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방향을 서술하였다. 그 이후 수차례(次例)의 조정을 거치다가 1999년 중소도시권의 개발제한구역이 전면해제 됨에 따라 우리나라의 개발제한구역은 대도시권을 중심으로 유지하게 되었다.
- 목 차 -
Ⅱ. 본 론
6. 結論 작성시 참조.hwp
2. 개발제한구역의 성격 및 효과.hwp
4. 개발제한구역제도의 문제점 및 제도improvement(개선) 대책.hwp
방송통신 > 중간과제물
3. 개발제한구역의 정책적 조정
3. 개발제한구역제도를 바라보는 두 가지 시선.hwp
1999년 7월 국민의 政府(정부)는 개발제한구역 제도 improvement 방안 입안을 통해 상대적으로 개발압력이 낮은 7개 중소도시권의 개발제한구역은 전면해제하고, 서울특별시와 전국 광역시 등 7개 대도시권은 광역도시계획을 수립하여 일부 조정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대규모 집단취락, 산업단지, 경계선 관통취락 등은 우선 해제하였다. 따라서 개발제한구역내 집단취락지의 무질서한 개발 방지 및 과도한 규제 완화 차원에서의 지구단위계획수립은 계획적 개발에 있어서 그 한계가 있다. 또한 본 연구의 대상지인 기장군은 동부산관광단지ㆍ산업단지ㆍ택지개발지구 등 기존의 도시기반구조의 상당부분이 변경 또는 사업 시행중에 있는 지역으로서 개발제한구역 해제에 따른 집단취락지 인근의 신규개발사업과의 연계성을 고려한 취락지의 개발방향의 설정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즉, 우리나라의 개발제한구역은 1971년부터 수도권을 필두로 인구집중을 억제할 필요가 있는 대도시, 도시팽창이 우려되는 도청소재지, 급속한 도시화가 예상되는 공업도시, 관광자원과 자연environment을 보존할 필요가 인정되는 특수한 지방도시, 군사시설 보호 및 보안상 개발을 제한할 필요가 있는 지역 등을 중심으로 전국 14개 도시권에 전국토의 5.4%에 해당하는 5,397㎢에 걸쳐 지정되었다.
5. 서론 작성시 참조.hwp
우리나라의 개발제한구역제도는 영국의 그린벨트제도를 모체로 1971년부터 도입되었다.
1. 개발제한구역 제도의 개념(槪念)
설명
1. 개발제한구역 제도의 definition
Ⅲ. 결 론
- 중략 -
Download : 20171중과_일본1_숲과삶_B형.zip( 86 )
Ⅱ. 본 론
이후 2001년 9월 대도시권 개발제한구역 조정방안이 발표되었으나 해제 예정지역 및 개발제한구역내의 중소규모 취락들에 대한 개발방안계획은 수립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 함께 제공되는 참고자료(data) 한글파일 >>
I. 서 론
2. 개발제한구역의 present condition과 역할
Ⅰ. 서 론
4. 개발제한구역 제도가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방향
순서
1. 개발제한구역의 개념(槪念).hwp



개발제한구역 제도의 의미를 설명하고, 향후 도시의 자연環境 보전을 위해 개발제한구역 제도가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방향에 대해 개인적인 견해를 제시하시오.
2017년 1학기 숲과삶 중간시험과제물 B형(개발제한구역 제도의 의미, 바람직한 방향)
개발제한구역 제도의 의미를 설명하고, 향후 도시의 자연환경 보전을 위해 개발제한구역 제도가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방향에 대해 개인적인 견해를 제시하시오. - 목 차 - Ⅰ. 서 론 Ⅱ. 본 론 1. 개발제한구역 제도의 개념 2. 개발제한구역의 현황과 역할 3. 개발제한구역의 정책적 조정 4. 개발제한구역 제도가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방향 Ⅲ. 결 론 참고문헌 << 함께 제공되는 참고자료 한글파일 >> 1. 개발제한구역의 개념.hwp 2. 개발제한구역의 성격 및 효과.hwp 3. 개발제한구역제도를 바라보는 두 가지 시선.hwp 4. 개발제한구역제도의 문제점 및 제도개선 방안.hwp 5. 서론 작성시 참조.hwp 6. 결론 작성시 참조.hwp
bibliography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