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ORT] [경제학,마르크스경제학,정치경제학,경제사] `자본주의의 歷史(역사) 바로알기` 서평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5-21 07:12본문
Download : 독후감.hwp
그래서 어리굴젓이 나왔다. 강원도 사람들은 생굴을 먹지 못했을 것이고, 섬 사람들은 취나물을 구경하기 힘들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인들에게 원죄는 없다. 앞에서처럼 강원도 사람에게 생굴을 판다면 아주 비싸게 팔 수 있을 것이다. 상인들은 돌아다니면서 이것저것을 본다.
서울대 경제학부 2007년 1학기 report
설명
Download : 독후감.hwp( 82 )
다. 하지만 상업은 개방적이다.



자본주의의 발생과 변혁과정을 기록한 책을 읽은후 쓴 서평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경제학,마르크스경제학,정치경제학,경제사] `자본주의의 歷史(역사) 바로알기` 서평
자본주의역사 바로알기, 경제사, 마르크스 경제사
순서
자본주의의 발생과 변혁과정을 기록한 책을 읽고 쓴 서평 서울대 경제학부 2007년 1학기 레포트
농업은 정적인 활동이다. 눈이 넓어지고, 무엇이 자신에게 이익이 될지에 밝다. 상품의 교환 목적으로 생겨난 이런 상인들은 어찌보면 자연발생적이다. 또 농사를 짓고 살다가보면, 농기구도 만들어야 하고, 옷도 만들어야 한다. 내가 생각하기에 자본주의의 씨앗이 되었던 상인계급의 탄생은 자연스러운 것이 된다된다. 이렇듯 장인과 상인은 자연발생적인 직종들이다. 그렇게 하다보면 특출나게 더 손재주가 뛰어난 사람이 있게 되고, 이들이 전문적으로 물건을 만드는 이, 즉 장인이 되었을 것이다. 이런 이윤을 위한 아주 소박한 동기에서부터 자본주의는 시작되었을 것이다. 이런 이윤을 책에서는 나쁘게 보고 있지만, 내가 생각하기에 이것은 당연한 것이다. 매인 땅에서 벌어먹고 살아야 하고, 그 땅에서만 나오는 것으로만 살아간다. 지리적 차이로 인해 각 사물들간에는 가치가 달라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