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 국어학개론 - 과거, 현재, 未來(미래) 시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7-10 12:35본문
Download : [국문] 국어학개론 - 과거, 현재, 미래 시제 .hwp
그런 시간적 위치를 자리매김하는 데에는 몇 가지 방식이 있는데 그 중에서 시간 관련 문법 형태의 대립 관계로 그 위치를 구분하여 나타내는 방식을 시제라고 한다.
(나) 나는 그날 퍽 고단하였다. 그런데 시제는 그런 시간 표시 낱말 따위로 나타내는 시간 표시가 아니라, 한 언어에 체계적으로 갖추어진 시간 관계 문법 요소들로 사태의 시간적 앞 뒤 관계를 나타낸다.
이러한 시제 개념(槪念)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시제는 단순한 자연 시간에 따른 앞 뒤 관계의 구분이 아니라 문법적인 형태에 의한 시간적 자리매김이라는 점이다. , [국문] 국어학개론 - 과거, 현재, 미래 시제 인문사회레포트 , 국문 국어학개론 과거 현재 미래 시제
목 차
Ⅰ. 서론 ··· 2
Ⅱ. 과거?현재?미래시제··· 2
Ⅲ. conclusion(결론) ··· 8
※ 參考文獻 ··· 8
Ⅰ. 서론
시제란 일정한 시점을 기준으로 사태의 시간적 위치를 나타내는 문법 범주이다.
레포트/인문사회
다.
[국문] 국어학개론 - 과거, 현재, 未來(미래) 시제
Download : [국문] 국어학개론 - 과거, 현재, 미래 시제 .hwp( 70 )
순서
[국문] 국어학개론 - 과거, 현재, 미래 시제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지금”, “아까”, “이따가” 따위가 각기 그런 자연 시간의 구분을 가리켜 말할 때에 쓰는 시간어이다.
Ⅱ. 과거?현재?미래시제
1. 과거시제 : 과거시제는 일반적으로 사건시가 발화시에 선행하는 시간 표현으로 규정되어 있다아 과거시제는 대부분의 어미에 분명히 표시된다
1) (가) 나는 어제 수필 한 편을 썼다. 자연 시간에 그 호흡에 따라 현재, 과거, 미래 등으로 나뉜다.
과거시제는 현재시제와는 달리 그 형태가 선어말어미 ‘-었-’ 등으로 갖추어져 있다아 1)의 (가)의 ‘썼다’는 ‘쓰었다’로 分析(분석)되는데 이곳의 ‘-었-’은 양성모음 ‘ㅏ, ㅗ’로 된 어간 뒤에서는 ‘-았-’으로 되고 어간 ‘하-’의 뒤에서는 ‘-었-’으로 교체된다 1) (가)…(생략(省略))
설명
국문,국어학개론,과거,현재,미래,시제,인문사회,레포트
![[국문]%20국어학개론%20-%20과거,%20현재,%20미래%20시제%20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AD%EB%AC%B8%5D%20%EA%B5%AD%EC%96%B4%ED%95%99%EA%B0%9C%EB%A1%A0%20-%20%EA%B3%BC%EA%B1%B0,%20%ED%98%84%EC%9E%AC,%20%EB%AF%B8%EB%9E%98%20%EC%8B%9C%EC%A0%9C%20_hwp_01.gif)
![[국문]%20국어학개론%20-%20과거,%20현재,%20미래%20시제%20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AD%EB%AC%B8%5D%20%EA%B5%AD%EC%96%B4%ED%95%99%EA%B0%9C%EB%A1%A0%20-%20%EA%B3%BC%EA%B1%B0,%20%ED%98%84%EC%9E%AC,%20%EB%AF%B8%EB%9E%98%20%EC%8B%9C%EC%A0%9C%20_hwp_02.gif)
![[국문]%20국어학개론%20-%20과거,%20현재,%20미래%20시제%20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AD%EB%AC%B8%5D%20%EA%B5%AD%EC%96%B4%ED%95%99%EA%B0%9C%EB%A1%A0%20-%20%EA%B3%BC%EA%B1%B0,%20%ED%98%84%EC%9E%AC,%20%EB%AF%B8%EB%9E%98%20%EC%8B%9C%EC%A0%9C%20_hwp_03.gif)
![[국문]%20국어학개론%20-%20과거,%20현재,%20미래%20시제%20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AD%EB%AC%B8%5D%20%EA%B5%AD%EC%96%B4%ED%95%99%EA%B0%9C%EB%A1%A0%20-%20%EA%B3%BC%EA%B1%B0,%20%ED%98%84%EC%9E%AC,%20%EB%AF%B8%EB%9E%98%20%EC%8B%9C%EC%A0%9C%20_hwp_04.gif)
![[국문]%20국어학개론%20-%20과거,%20현재,%20미래%20시제%20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AD%EB%AC%B8%5D%20%EA%B5%AD%EC%96%B4%ED%95%99%EA%B0%9C%EB%A1%A0%20-%20%EA%B3%BC%EA%B1%B0,%20%ED%98%84%EC%9E%AC,%20%EB%AF%B8%EB%9E%98%20%EC%8B%9C%EC%A0%9C%20_hwp_05.gif)
![[국문]%20국어학개론%20-%20과거,%20현재,%20미래%20시제%20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AD%EB%AC%B8%5D%20%EA%B5%AD%EC%96%B4%ED%95%99%EA%B0%9C%EB%A1%A0%20-%20%EA%B3%BC%EA%B1%B0,%20%ED%98%84%EC%9E%AC,%20%EB%AF%B8%EB%9E%98%20%EC%8B%9C%EC%A0%9C%20_hwp_06.gif)
[국문] 국어학개론 - 과거, 현재, 未來(미래) 시제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주의에서 일어나는 사태 곧 사건이나 상태 등을 말할 때에는 그 시간적인 앞 뒤 관계를 구분하여 나타내게 된다 그것이 현재 벌어지고 있는지, 아니면 그 전에 이미 일어난 일인지 등을 밝히게 되는 것이다.
(다) 그 분을 다시 뵌 것은 3년 전 경회루 앞에서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