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cript.co.kr [자연과학] [일반화학] 기체상수 결정 > javascript3 | javascript.co.kr report

[자연과학] [일반화학] 기체상수 결정 > javascript3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javascript3

[자연과학] [일반화학] 기체상수 결정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5-30 14:24

본문




Download : [자연과학] [일반화학] 기체상수 결정.hwp




비커에 연결된 유리관은 시약병의 바닥에 닿을 정도로 충분히 길게.
2) 시약병에 물을 가득 채우고, 시험관으로 연결된 유리관에서 입김을 불언허어 비커로 연결된 유리관에 물이 채워지게 한 다음, 조임클램프로 고무관을 막아두고 다시 시약병에 물을 가득 채움.
3) 비커의 물을 버린 후 제 위치에 놓고 클램프를 열어둔다.
4) 2g KClO3, 0.2g MnO2를 시험관에 넣고 무게 측정(measurement)
5) 시험관을 거의 수평으로 고정시킨다. 마개와 유리관의 연결부분으로 기체가 새어 나가지 않도록 한다.
3. 기구 및 시약
스탠드, 시험과 2개, 조임클램프, 시약병(1ℓ)과 비커(1ℓ), 가열기와 저울 KClO3, MnO2, NaHCO3


분자량
비중
밀도(g/㎤)
mp
기타
KClO3
121.453
2.326

368℃
광택, 단사정계결정
MnO
86.94
5.026
5.039

물에 거의 녹지 않음
NaHCO3
84
220


무색의 결정성 분발


4. 理論(이론)
대부분의 기체는 온도가 높고, 압력이 충분히 낮은 상태에서 이상기체 상태방정식 를 잘 만족한다. R은 기체상수라고 하는 기본 상수인데, O2, CO2의 P, V, n, T를 측정(measurement)하여 R을 결정한다. 시료가 시험관 벽을 따라 넓게 퍼지도록 해야 하지만 시료가 고무마개에 닿으면 안됨.
6)…(省略)




다.[자연과학] [일반화학] 기체상수 결정


순서


Download : [자연과학] [일반화학] 기체상수 결정.hwp( 12 )



설명



자연과학,일반화학,기체상수,결정,화학,실험결과
[자연과학]%20[일반화학]%20기체상수%20결정_hwp_01.gif [자연과학]%20[일반화학]%20기체상수%20결정_hwp_02.gif
실험결과/화학



[자연과학] [일반화학] 기체상수 결정 , [자연과학] [일반화학] 기체상수 결정화학실험결과 , 자연과학 일반화학 기체상수 결정
[자연과학] [일반화학] 기체상수 결정



1. test(실험) title(제목) : 기체상수 결정
2. test(실험) 목표(目標) : 일정량의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발생시켜서 기체상수의 값을 결정한다. 발생한 산소기체의 부피는 기체발생장치에서 밀려나간 물의 부피로 계산할 수 있다 (산소기체에 수증기도 포함되어 있으므로 증기의 부분압을 보정해 주어야한다.
MnO2는 촉매로 작용하여 산소발생 속도를 증가시킨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CO2의 부피를 알 수 있고, 가열하기 전과 후의 고체시료의 무게가 얼마나 감소했는가를 측정(measurement)하여 발생한 기체의 양을 알 수 있다

5. test(실험) 방법
(test(실험) A) 산소기체
1) 기체발생장치를 만든다.
전체 22,152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javascript.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