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의 고층대기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10-19 07:45본문
Download : 지구의 고층대기.hwp
하지만 성층권이나 중간권은 중층대기라 하여 하층의 대류권이나 그 위의 열권과 분리하려는 학자들도 있다. 이는 고층대기의 입자들이 效果적으로 태양에너지를 흡수하여 들뜬상태로 전이되기 때문이며, 들뜬 분자나 원자는 가시광선뿐 아니라 자외선 및 적외선영역의 빛을 방출하기도 한다. 명확히 고층대기의 경계를 구분 짓는 것은 쉽지 않지만 하층대기와 확연히 구분되는 몇 가지 특징, 즉 이온화된 물질(이온, 전자)이 존재하여 전자기장과 전류의 흐름이 중요시되며 운동역학에 플라즈마가 영향을 미치는 지역으로 구분을 한다면 중간권의 일부를 포함하는 열권이 우주과학의 일부로 다루어지는 고층대기라 할 수 있을 것이다 , 지구의 고층대기공학기술레포트 ,
지구의 고층대기
Download : 지구의 고층대기.hwp( 15 )






,공학기술,레포트
순서
레포트/공학기술
고층대기에 대한 정의는 학자들마다 opinion이 일치하지 않고 있다. 하지만 성층권이나 중간권은 중층대기라 하여 하층의 대류권이나 그 위의 열권과 분리하려는 학자들도 있다. 기상학분야에서는 일반적으로 대류권 위의 대기층을 고층대기라 칭하고 있다. 기상학분야에서는 일반적으로 대류권 위의 대기층을 고층대기라 칭하고 있다. 명확히 고층대기의 경계를 구분 짓는 것은 쉽지 않지만 하층대기와 확연히 구분되는 몇 가지 특징, 즉 이온화된 물질(이온, 전자)이 존재하여 전자기장과 전류의 흐름이 중요시되며 운동역학에 플라즈마가 影響을 미치는 지역으로 구분을 한다면 중간권의 일부를 포함하는 열권이 우주과학의 일부로 다루어지는 고층대기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다. 이러한 빛을 대기광(airglow), 혹은 대기복사선이라 하며 대표적인 대기복사선으로 열권의 산소원자가 방출하는 적색선(redline)과 녹색선(greenline), 열권하부의 나트륨(Na) 방출선(D1, D2), 그리고 산소분자나 수산기(OH)가 방출하는 근적외선 영역의 분자띠를 들 수 있다(그림 1 참조). 대기광은 직접 관측이 어려운 고층대기의 물리량과 이곳에서 발생하는 여러 화학적 과정에 대…(To be continued )
고층대기에 대한 정의는 학자들마다 의견이 일치하지 않고 있다. 이온층은 중간권 및 열권과 영역을 공유하며 전파를 반사시키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따 고층대기를 주위의 다른 영역으로부터 구분하는 특징 중의 하나는 대기 중의 원자나 분자가 방출하는 가시광 영역의 복사선이 대부분 이 지역에서 방출된다는 사실이다.
설명
Ⅰ. 서 론
Ⅱ. 고층대기가 미치는 영향들
Ⅲ. 고층대기 입자의 구ingredient포
Ⅳ. 고층대기의 구조적 특징
Ⅴ. 고층대기environment과 지구environment變化
Ⅵ. 관측방법
Ⅶ. 국내 고층 대기 연구 동향
중간권은 약 50 km에서 그 위의 열권과 경계가 되는 약 80 km까지의 영역이며 이곳의 상층부 온도는 약 - 80。C까지 내려가는데 특별한 에너지원이 없을 뿐 아니라 이산화탄소에 의한 복사냉각으로 인해 지구상에서 가장 낮은 온도를 유지하는 지역으로 알려져 있따 열권에서는 주로 산소와 질소기체들이 태양자외선이나 극자외선(extreme UV) 영역의 에너지를 效果적으로 흡수하기 때문에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게 된다 열권의 온도는 태양의 활동정도에 따라 500~2,000 K 정도로 큰 폭의 變化를 보이는데 이는 태양활동에 따른 태양 복사에너지가 자외선영역에서 가장 큰 變化를 보이며 이러한 에너지가 흡수되는 곳이 바로 열권이기 때문이다 지구대기권의 최상층인 열권의 범위는 대략 600~700 km 부근까지이며 그 이상의 영역은 외기권(exosphere)이라고 한다. 한편, 태양자외선에 의하여 중성의 대기입자들은 이온과 전자로 분리되기도 하는데 이렇게 해서 이온층(혹은 전리층)이 형성되며 이온층은 그 特性(특성)에 따라 D, E, F (F1, F2) 층으로 나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