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암 이현보의 삶과 시가 문학의 특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8-03 06:32본문
Download : 농암 이현보의 삶과 시가 문학의 특징.hwp
이렇듯 그의 한시는 국문시가보다 월등히 많은 작품 수가 존재하며, 지금까지 몇 편의 논문으로 고찰되기도 하였지만 국문시가 연구에 비해 턱 없이 적은 성과만이 나타났다. 따라서 농암 이현보 문학을 총체적으로 구명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한시와 국문시가의 균형 있는 고찰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다.
가 존재한다. 이러한 연구가 계속적으로 진행되고 그 연구 결과가 축적될 때 농암 이현보 문학의 실체가 서서히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지금까지 진행되어온 농암 이현보 문학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정리하면서 그의 국문시가
그의 국문시가 작품은 모두 <效嚬歌>, <聾巖歌>, <生日歌>, <漁父短歌> 5수 등의 시조 작품들과 漢詩懸吐體인 <長歌 漁父歌> 9수가 있고, 그의 한시는 120여 수 『국역 농암선생문집』(농암선생문집국역간행위원회)에는 126수가 국역되어 있고, 『농암집』(성균관대학교 대동文化(문화)연구원)에는 107수가 실려 있다
Download : 농암 이현보의 삶과 시가 문학의 특징.hwp( 42 )
정재호, 「이현보론」, 『한국문학작가론 Ⅱ』, 형설출판사, 1986.
농암 이현보의 삶과 시가 문학의 특징
농암 이현보의 삶과 시가 문학의 특징 농암 이현보의 삶과 시가 문학의 특징 농암 이현보의 삶과 시가 문학의 특징
성호경, 「농암 이현보의 삶과 시가」, 『진단학회』93집, 2002.
.
.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순서
농암 이현보의 삶과 시가 문학의 특징
류증선, 「농암의 시가론」, 『어문학』4집, 한국어문학회, 1959.
으로 주목받아 왔으며, 국문학 연구의 초창기부터 그의 국문시가가 가지는 문학적 특질과 시가사적 의의, 그리고 그에 대한 다양한 작가론 등 다방면의 연구 성과들이 축적되어 왔다.
김동준, 「이현보론」,『고시조작가론』, 한국시조학회편, 백산출판사, 1986.
조규익, 「농암 이현보의 가곡」, 『연민학지』2집, 1994.
.
또는 ‘嶺南歌壇의 중심인물의 한 사람’ 최진원, 「강호가도와 풍류」, 『논문집』11, 성균관대학교, 1966.
그 외 다수의 논문 및 저서가 있다
농암 이현보의 삶과 시가 문학의 특징
이동영, 「이현보의 시가와 자연」,『조선조 영남시가의 연구』, 형설출판사, 1984.
농암 이현보의 삶과 시가 문학의 특징
설명
농암 이현보의 삶과 시가 문학의 특징
이원주, 「이현보론」, 『한국문학작가론』, 나손선생 추모논총, 현대문학, 1991.
聾巖 李賢輔(1467-1555)는 한국 고전시가 문학 연구에서 일찍부터 ‘江湖歌道의 唱導者’ 조윤제, 『조선시가사강』, 동광당서점, 1937.
농암 이현보의 삶과 시가 문학의 특징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하여 농암 이현보의 문학을 종합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특히 그가 창작한 국문시가에 대한 대표적인 연구를 들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 성과들 대부분이 그의 국문시가에 집중되어 있어 농암 이현보의 문학세계에 대한 종합적 고찰은 상대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국문학 연구 초창기 조윤제의 연구 이후 농암 이현보에 대한 연구는 다방면으로 이루어져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