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사회복지 공동모금회의 drawback(걸점)과 improvement(개선)방향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5-12 16:59본문
Download : 우리나라 사회복지 공동모금회의 문제점과 개선방향.hwp
이러한 점에서 한국의 사회복지공동모금회가 안고 있는 몇 가지 중요한 결점을 지적하고 개선대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로, 집중모금기간의 모금은 주로 언론사에 …(drop)
우리나라 사회복지 공동모금회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 우리나라 사회복지 공동모금회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인문사회레포트 , 우리나라 사회복지 공동모금회 문제점과 개선방향
우리나라 사회복지 공동모금회의 drawback(걸점)과 improvement(개선)방향
순서
설명
우리나라 사회복지 공동모금회의 drawback(걸점)과 improvement(개선)방향
레포트/인문사회
우리나라,사회복지,공동모금회,문제점과,개선방향,인문사회,레포트






다. 모금액의 대부분이 집중모금기간에 의존하는 정도가 높다는 것은 상시적인 모금이 상대적으로 발달해 있지 않다는 것인데, 이는 모금회가 얼마나 많은 돈을 모금하느냐 그렇지 않으냐의 문제를 뛰어넘는 매우 구조적인 문제를 낳는다.
1) 모금활동 관련 문제
(1) 집중모금문제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모금활동과 관련된 가장 중요한 문제는 대부분의 모금액이 연말연시 집중모금기간 (12월 1일 ~ 다음해 1월 31일)에 집중되어 있다는 것이다.
Download : 우리나라 사회복지 공동모금회의 문제점과 개선방향.hwp( 73 )
우리나라 사회복지 공동모금회의 결점
1) 모금활동 관련 문제
2) 배분활동관련 문제
3) 결점
우리나라 사회복지 공동모금회의 개선대책
1) 연중 수시모금의 활성화
2) 모금캠페인 및 marketing 의 전문화
3) 배분원칙의 확립(배분의 투명성확보)
4) 조직인력의 전문성 확보
5) 성금의 배분과 집행에 대한 철저한 평가를 실시
6) 전국 공동모금회는 모금할 수 없도록 하는 법조항 추가
7) 바람직한 기부문화 조성
8) 효율적 홍보 및 모금 캠페인
9) 모금시기
10) 모금 및 홍보를 위한 자원봉사단 조직
11) 모금 전문가 양성
12) 수혜기관들의 참여대책
13) 종교재단의 참여유도
14) 기관 배분형 중심에서 문제/프로그램(program]) 중심으로 전환
15) 배분기준 및 시스템이 필요
16) 배분 효과(效果)성 평가 실시
17) 공동모금회 연구소 설립으로 지속적인 프로그램(program]) 연구
18) 배분실행위원회 구성과 조직원에 대한 도덕성과 책임성의...
우리나라 사회복지 공동모금회의 결점
1) 모금활동 관련 문제
2) 배분활동관련 문제
3) 결점
우리나라 사회복지 공동모금회의 개선대책
1) 연중 수시모금의 활성화
2) 모금캠페인 및 marketing 의 전문화
3) 배분원칙의 확립(배분의 투명성확보)
4) 조직인력의 전문성 확보
5) 성금의 배분과 집행에 대한 철저한 평가를 실시
6) 전국 공동모금회는 모금할 수 없도록 하는 법조항 추가
7) 바람직한 기부문화 조성
8) 효율적 홍보 및 모금 캠페인
9) 모금시기
10) 모금 및 홍보를 위한 자원봉사단 조직
11) 모금 전문가 양성
12) 수혜기관들의 참여대책
13) 종교재단의 참여유도
14) 기관 배분형 중심에서 문제/프로그램(program]) 중심으로 전환
15) 배분기준 및 시스템이 필요
16) 배분 효과(效果)성 평가 실시
17) 공동모금회 연구소 설립으로 지속적인 프로그램(program]) 연구
18) 배분실행위원회 구성과 조직원에 대한 도덕성과 책임성의 확립
우리나라 사회복지 공동모금회의 결점
공동모금회가 지향해야 할 궁극적인 지향점인 사회문제에 대한 주민들 스스로의 인식과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자발적 참여를 유도한다는 것에 비추어 볼 때, 한국의 사회복지공동모금회는 몇 가지 문제를 안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