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체교섭의 위임 및 제3자 위임금지조항 관련 노조법상 검토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5-12 13:49
본문
Download : 단체교섭의 위임 및 제3자 위임금지조항 관련 노조법상 검토.hwp
순서
,법학행정,레포트
설명
Ⅰ. 들어가며
Ⅱ. 단체교섭 위임의 내용
Ⅲ. 제3자 위임금지조항
Ⅳ. 마치며
Ⅱ. 단체교섭 위임의 내용
1. 위임의 상대방
위임의 상대방에 대하여 자연인에 국한된다는 견해가 있으나, 단체교섭의 위임의 취지가 단체교섭력의 강화에 있다는 것을 상기할 때 자연인뿐만 아니라 단체도 위임의 상대방이 될 수 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할 것이다.
Download : 단체교섭의 위임 및 제3자 위임금지조항 관련 노조법상 검토.hwp( 97 )
단체교섭의 위임 및 제3자 위임금지조항 관련 사항을 노조법을 바탕으로 하여 정리하였습니다.단체교섭의위임의내용및제3자위임금지조항의효력 , 단체교섭의 위임 및 제3자 위임금지조항 관련 노조법상 검토법학행정레포트 ,
단체교섭의위임의내용및제3자위임금지조항의효력
다.
3. 위임의 절차와 방식
1) 법규정
노동조합과 사용자 또는 사용자단체는 교섭 또는 협약의 체결권한을 위임한 때에는 그 사실을 상대방에게 통보하도록 하고 있따(노조법29조 3항)
2) 통보의무
노동조합은 교섭 또는 단체협약의 체결에 관한 권한을 위임한 때에는 ①위임받을 자의 성명②교섭사항③권한…(투비컨티뉴드 )
단체교섭의 위임 및 제3자 위임금지조항 관련 노조법상 검토
레포트/법학행정
단체교섭의 위임 및 제3자 위임금지조항 관련 사항을 노조법을 바탕으로 하여 요점하였습니다.
2. 수임자의 교섭권한의 범위
노동조합이나 사용자 또는 사용자단체는 교섭 또는 단체협약의 체결에 관한 권한을 본래적 교섭담당자 이외의 자에게 위임할 수 있고, 수임자는 그 노동조합이나 사용자 또는 사용자단체를 위하여 그 위임받은 범위 안에서 그 권한을 행사할 수 있따
따라서 교섭사항의 일부만 위임받을 수도 있고, 전부를 위임받을 수도 있으며, 협약체결권까지 위임받을 수도 있고, 재위임을 금지할 수도 있따 따라서 위임의 경우 수임자의 교섭사항과 교섭권한의 범위를 명확히 정하여 위임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