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북한의 발해사 인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1-10 22:20본문
Download : [인문][사회] 북한의 발해사 인식.hwp
1934년에 김육불이 집대성한 {발해국지장편}과 {동북통사}가 가장 대표적으로 남아 있을 뿐이었다.
북한의 발해사 인식
북한의 발해사 연구는 두 가지 특징을 갖고 있다 첫째는, 발해가 고구려를 계승한 독립국가라는 점을 밝히려는 것이고, 둘째는 한국사의 정통성을 고조선-부여-고구려-발해에서 찾아, 신라사 위주의 신라 중심적 남한 학계와 차별성을 두려는 것이다. 1979년에 발간된 {조선전사}는 남쪽의 일반론인 통일신라를 부정하고, 후기신라로 정리(整理) 되었고, 그 순서에 있어서도 발해와 후기신라라 하여 발해를 앞세웠…(drop)
다. 발해를 당의 지방정권으로 보는 중국(China)사 중심의 발해사 연구는 `文化혁명`이 지나가고 79년부터 스타트하여 1980년대에 적극화되었다.
특히, history(역사) 적 정통성과 관련하여 발해는 신라보다 우위에 있기 스타트하였다. 박시형이 제시한 발해사의 기본적인 연구방향은 주영헌 등에 의해 고고학적으로 뒷받침되어, 조중공동발굴보고서를 시발로 {발해文化}에서 집대성되었다. 단지, 당시의 발해사 연구는 고구려사에 부수된 한 영역이었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본격적이지 않았던 한계가 있었다. 북한의 발해사 연구는 몇 년간의 공백이 있다가, 1986년부터 다시 본격화되었다. 그러나, 당시만 해도 중국(China)의 발해사 연구는 전무했다. 중국(China)이 발해를 당나라의 `지방정권`이었던 `홀한주도독부`로 간주하고 중국(China)사의 일부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둘째의 문제는 북한이 남쪽의 통설인 `통일신라`를 부정하고 `후기신라`로 규정짓고 `발해와 후기신라`라 하면서 발해를 앞세우고 있는 것이 다르다.
북한의 발해사 연구에서 최초의 논문을 작성한 이는 박시형이다. 그러나, 발해사에 대한 變化(변화)는 이미 1970년대말 `사회history(역사) 원리`로써의 주체사상이 history(역사) 학에 반영되면서 일어났다.
Download : [인문][사회] 북한의 발해사 인식.hwp( 73 )
![[인문][사회]%20북한의%20발해사%20인식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5D%5B%EC%82%AC%ED%9A%8C%5D%20%EB%B6%81%ED%95%9C%EC%9D%98%20%EB%B0%9C%ED%95%B4%EC%82%AC%20%EC%9D%B8%EC%8B%9D_hwp_01.gif)
![[인문][사회]%20북한의%20발해사%20인식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5D%5B%EC%82%AC%ED%9A%8C%5D%20%EB%B6%81%ED%95%9C%EC%9D%98%20%EB%B0%9C%ED%95%B4%EC%82%AC%20%EC%9D%B8%EC%8B%9D_hwp_02.gif)
![[인문][사회]%20북한의%20발해사%20인식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5D%5B%EC%82%AC%ED%9A%8C%5D%20%EB%B6%81%ED%95%9C%EC%9D%98%20%EB%B0%9C%ED%95%B4%EC%82%AC%20%EC%9D%B8%EC%8B%9D_hwp_03.gif)
![[인문][사회]%20북한의%20발해사%20인식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5D%5B%EC%82%AC%ED%9A%8C%5D%20%EB%B6%81%ED%95%9C%EC%9D%98%20%EB%B0%9C%ED%95%B4%EC%82%AC%20%EC%9D%B8%EC%8B%9D_hwp_04.gif)
![[인문][사회]%20북한의%20발해사%20인식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5D%5B%EC%82%AC%ED%9A%8C%5D%20%EB%B6%81%ED%95%9C%EC%9D%98%20%EB%B0%9C%ED%95%B4%EC%82%AC%20%EC%9D%B8%EC%8B%9D_hwp_05.gif)
설명
순서
[인문][사회] 북한의 발해사 인식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 [인문][사회] 북한의 발해사 인식인문사회레포트 , 인문 사회 북한 발해사 인식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북한,발해사,인식,인문사회,레포트
[인문][사회] 북한의 발해사 인식
[인문][사회] 북한의 발해사 인식
- 먼저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첫째의 문제는 남북한이 서로 공통점을 갖는 부분이다. 아울러 남쪽에서의 발해사 연구도 1980년대 이전에는 별무했다. 따라서, 박시형과 주영헌의 이러한 연구는 한국사에서 의미가 매우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