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일 事例(사례) 연구 설계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5-24 11:27
본문
Download : 단일 사례 연구 설계.hwp
표적행동에 대한 observation 및 기록은 같은 상황 하에서 같은 행동을 하는 같은 시기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록하는 방법은 정해진 시간간격(예를 들면 10초)내에 처음 일어나는 행동만 기록하고 그 후에 몇 번이 일어나도 그것은 기록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시간간격기록은 정해진 시간간격내에 표적행동이 일어났느냐 일어나지 않았…(省略)
사회사업적 개입이 문제해결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한 단일 사례 연구 설계의 특징을 살펴보고, 그 형태와 개입의 평가를 작성한 리포트입니다. 여기에는 표적행동에 대한 조작적 definition , 기록원칙, 기록의 예 등에서 제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2. observation· 기록자의 선정
영구적 생산물기록방법을 제외한 모든 기록방법은 표적행동의 직접적인 observation에 의하여 기록되어야 한다.단일사례연구설계 , 단일 사례 연구 설계인문사회레포트 ,
단일 事例(사례) 연구 설계
다.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단일 사례 연구 설계.hwp( 79 )
사회사업적 개입이 문제해결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한 단일 事例(사례) 연구 설계의 특징을 살펴보고, 그 형태와 개입의 평가를 작성한 리포트입니다.
3. 절차observation 및 기록방법
1) 시간간격기록(interval recoding)
시간간격기록은 일정한 observation기간을 같은 간격의 짧은 시간으로 나누어 조사대상자의 표적행동을 직접 observation·기록하는 것인데 시간간격이 짧으면 짧을수록 더 정확히 observation될 수 있다 시간간격은 10초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비용을 적게 들이고 쉽게 이용할 수 있는 observation·기록자는 조사상황의 자연적 環境에 속하는 사람들로서 예를 들면 교사, 부모, 배우자, 동료 등이다. 표적행동에 대한 구체적인 판단기준과 資料기록규정을 조사처음 전에 준비하여야 하는데 이를 행동observation규정(behavior observation code)라고 한다. 예를 들어 10초의 시간간격에 있어서 손을 빠는 행동이 두 번 이상 일어나도 처음 일어난 행동만 기록하는 것이다.
단일事例(사례)연구설계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들어가면서
Ⅰ. 단일instance(사례)연구설계의 特性
1. observation analysis
2. 반복 observation
3. 비교설계
4. 개입방법 수정
Ⅱ. 단일instance(사례)연구의 절차
1. 문제의 확인 및 definition
2. 개입목표(goal)의 선정
3. 조사 설계
4. 조사 실시(資料수집)
5. 개입의 평가(資料 analysis)
Ⅲ. 단일instance(사례)연구설계의 형태
1. 단일instance(사례)연구설계의 기본구조
2. 단일instance(사례)연구설계의 구체적 형태
1) AB 설계(기본시간연속설계)
2) ABA 설계
3) ABAB 설계
4) BAB 설계
5) 복수기초선설계
Ⅳ. 단일instance(사례)연구의 절차 기록규정
1. 절차기록원칙
2. observation· 기록자의 선정
3. 절차observation 및 기록방법
1) 시간간격기록(interval recoding)
2) 빈도기록(frequency recording)
3) 지속기간기록(duration recording)
4) 정도기록(magnitude recording)
5) 간헐점검기록
6) 영구적 생산물기록
Ⅴ. 개입의 평가
1. alteration(변화) 의 파동
2. alteration(변화) 의 경향
3. alteration(변화) 의 수준
1. 절차기록원칙
단일instance(사례)연구에 있어서의 資料기록방법은 조사실시 전에 미리 결정되어야 하고 표준화된 양식에 의하여 observation되고 기록되어야 한다. observation기록자는 개입상황의 자연적 環境에 속하여 자연적으로 observation이 가능한 자, 개입의 자연적 環境에 속하지 않는 외부인, 실천가/조사연구자, 조사연구 또는 개입의 대상자가 될 수 있다
조사상황에의 접근이 가능하면 실천가/조사연구자가 observation·기록자가 될 수 있고 어떤 의미에서 이들에 의한 資料는 보다 정확할 수 있으므로 실천가/조사연구가에 의한 observation·기록은 바람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