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근로자의 보건관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07 23:34
본문
Download : 산업안전보건법에따른근로자의보건관리.hwp
(2) 특수건강진단
소음, 분진작업, 고압실내작업 등에서 종사하는 근로자에 대하여 당해 업무와 관련되는 유해인자에 대하여 사업주가 추가로 실시하는 건강진단을 말한다.
III. 건강진단
1. 개요
사업주는 근로자에 대하여 산업안전보건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건강진단을 하여야 하며, 이 경우 근로자대표의 요구가 있을 때에는 건강진단에 근로자 대표를 입회시켜야 한다.
3. 작업environment측정(measurement)에 따른 사용자의 의무
사용자는 작업environment측definition 결과를 당해 근로자에게 알려야 하며, 적절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또한, 산업안전보건위원회 또는 근로자대표의요구가 있는 경우 측정(measurement)결과에 대한 說明(설명) 회를 개최하여야 한다.
3. 산안법상의 규정
산안법은 근로자의 건강보호와 재해예방을 위하여 근로자의 보건관리에 대해 구체적으로 규정하였다.
다.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근로자의 보건관리
Download : 산업안전보건법에따른근로자의보건관리.hwp( 14 )



산업안전보건법,따른,근로자,보건관리,의약보건,레포트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근로자의 보건관리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근로자의 보건관리의약보건레포트 , 산업안전보건법 따른 근로자 보건관리
설명
순서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근로자의 보건관리
I. 서
1. 의의
국가는 재해를 예방하고 그 위험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노력(헌법 제34조 제6항)을 하여야 하고 산업안전보건법에서는 재해예방에 관한 구체적인 규정을 마련하고 있따
2. 산재예방의 중요성
산업화의 급속한 진전과 더불어 고도로 기계화되고 있는 산업은 필연적으로 산업재해의 가능성을 증대시킴으로써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에 대한 법적 보호의 당위성이 증대되었다.
II. 작업environment의 측정(measurement)
1. 개요
사업주는 노동부령이 정하는 작업장에 대하여 일정한 자격을 가진 자로 하여금 작업environment을 측정(measurement), 평가하도록 한 후 그 결과를 기록, 보존하고 노동부장관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2. 건강진단의 종류
(1) 일반건강진단
상시 사용하는 근로자에 대하여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건강진단으로, 사무직 종사자는 2년에 1회 이상, 기타 근로자에 대하여는 1년에 1회 이상 실시 하여야 한다.
2. 근로자대표 입회권
사용자의 작업environment측정(measurement)시 근로자대표의 요구가 있으면 사용자는 근로자대표를 입회시켜야 한다.
(3) 임시건강진단
연, 4알킬연, 유해용제 등에 의한 중독의 우려…(drop)
레포트/의약보건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근로자의 보건관리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