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대운하와 4대강 정비사업에 대한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06 06:54
본문
Download : 한반도 대운하와 4대강 정비사업에 대한 고찰.hwp
4대강 사업의 핵심인 `보` 설치와 `준설` 공사는 운하사업의 1단계 사업이 될 수 있으며 보와 준설은 강 생태계를 파괴하기 때문에 環境단체 등에선 반대운동을 펼치고 있다 이에 대해 이명박 대통령은 `대한민국의 기술 수준이 30~40년 전이라면 그럴 수도 있겠지만, 현재 우리나라는 세계 최고의 강 복원 기술을 갖고 있다`며 이 대통령은 `지금 보를 만드는 데는 한 단계 더 높은 IT기술을 갖고 한다`며 `보 밑에는 항상 물이 흐르고 필요할 때 열고 닫아 수량을 확보하고 수질을 보존할 것`이라며 `단순히 기술이 모자라 수질이 나빠질 것이란 얘기는 맞지 않는다`고 지적했다.●한반도대운하
한반도 대운하와 4대강 정비사업에 대한 고찰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한반도 대운하와 4대강 정비사업에 대한 고찰●한반도대운하 , 한반도 대운하와 4대강 정비사업에 대한 고찰인문사회레포트 ,
●한반도 대운하
●논란 일지
●찬반 논란
●대운하의 물류효과(效果)
●국책연구원 양심선언
●4대강 정비사업
●4대강 정비사업 논란
●4대강 정비사업 논란
시 민 단체들은 4대강 정비사업이 한반도 대운하를 이름만 바꿔서 전초작업으로 재등장시킨 것이라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4대강에 설치하는 보는 마스터플랜에서 발표한 16개 보 외에 물놀이 공간 등을 만들기 위한 작은 보 4개를 더 추가해 모두 20개가 된다고 알려지자, 국토해양부가 이 같은 계획을 처음부터 확정해놓고도 여론을 의식해 일부러 숨긴 것 아니냐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에 대해 이명박 대통령은 대선 당시 대운하 공약을 반대 여론이 많아 계획을 바꿨다며 운하는 다음 대통령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다음 정권이 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한강도 수질이 나쁘고 홍수피해가 컸지만, 잠실과 김포 신곡에 보를 만들어 물을 가두는 바람에 물이 많아지고, 황복이 돌아오는 맑은 물이 됐다`며 `4대강도 복원해 옛날 맑은 물 흐르고 뗏목 타던 시절로 돌아가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청계천 복원사업 당시 1년에 걸쳐 文化(culture) 재 조사가 진행되었음을 감안할 때 청계천의 213배인 4대강 유역의 …(생략(省略))
한반도 대운하와 4대강 정비사업에 대한 고찰
Download : 한반도 대운하와 4대강 정비사업에 대한 고찰.hwp( 40 )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다. 文化(culture) 재지표조사는 공사구역이 확정된 이후 진행되어야 함에도 사전에 진행되었고 수중조사는 아예 누락되었기 때문일것이다 삼국시대의 文化(culture) 유적지인 4대강 주변의 文化(culture) 재 지표조사를 한달 반만에 마친 것도 납득이 되지 않는 상황이다.
또한 이 사업을 위해 진행된 文化(culture) 재지표조사가 엉터리라는 점도 제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