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실천론] 자아심리학에 관련되어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01 01:08
본문
Download : [사회복지실천론] 자아심리학에 대해서.hwp
어린시절 Erikson은 어머니와 계부는 유태인이었지만 자신은 북구적인 금발과 푸른눈을 가졌기 때문에 유태인 친구들로부터 ‘이교도’라는 놀림을 받곤 했다. 이것이 Erikson과 심리학의 최초의 만남이었다.
4. 치료적 기법
(10) 숙달 - 유능함
5) 자아정체감 대 정체감 혼란
③ 경력
事例. Erikson의 생산성 대 침체단계를 만족스럽게 해결하지 못했을 때 야기되는 중년의 위기
3) 솔선성 대 죄의식
** Erik Erikson : 자아심리학의 대표적인 학자.
(7) 방어기제
8) 자아통합 대 절망
1. 심리적 건강과 증상에 대한 관점
Erikson은 고등학교 때 고대사와 미술에 뛰어난 두각을 보였지만, 틀에 박힌 학교분위기를 싫어하였다. 졸업후 상실감과 future 에 대한 불확실감에 사로잡힌 Erikson 은 대학 진학 대신에 미술공부를 위해 유럽을 방랑하였고, 그의 경험들을 매일 일기를 썼다. 그는 출생 전에 부모가 헤어져서 세살때까지 모친 슬하에서 자랐다. 1939년 샌프란시스코로 옮겨 캘리포니아대학에서 아동정신分析 치료와 정상아동을 대상으로 중요한 종단적 연구를 하였다.
순서
② 다른 人生(인생)사건
4. 자아숙달과 적응
2. 자아강점
1) Erik Erikson(1902-1994)의 생애
1. 자아기능
① 어린시절
(2) 판단
㉰ 아동발달에 대한 사회와 文化(culture) 의 영향에 대한 그의 특별한 관심으로 인하여
제1절 인간관
1) 합리적인 존재, 창조적 존재로서의 인간으로
1) Erik Erikson(1902~1994)의 생애
3. 치료자의 역할과 실무원칙
2. 심리사회적 발달의 단계별 속성
제5절 Erikson 이론(理論)의 평가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Erikson은 1902년 독일의 프랑크푸르트에서 덴마크인 아버지와 유태인인 어머니에게서 출생하였다. 이러한 경험이 어느 文化(culture) 에 적합하지 않다는 느낌으로 후에 그의 정체성 위기와 혼미에 관한 연구의 기초가 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아
![[사회복지실천론] 자아심리학에 대해서-3157_01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206/%5B%EC%82%AC%ED%9A%8C%EB%B3%B5%EC%A7%80%EC%8B%A4%EC%B2%9C%EB%A1%A0%5D%20%EC%9E%90%EC%95%84%EC%8B%AC%EB%A6%AC%ED%95%99%EC%97%90%20%EB%8C%80%ED%95%B4%EC%84%9C-3157_01_.jpg)
![[사회복지실천론] 자아심리학에 대해서-3157_02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206/%5B%EC%82%AC%ED%9A%8C%EB%B3%B5%EC%A7%80%EC%8B%A4%EC%B2%9C%EB%A1%A0%5D%20%EC%9E%90%EC%95%84%EC%8B%AC%EB%A6%AC%ED%95%99%EC%97%90%20%EB%8C%80%ED%95%B4%EC%84%9C-3157_02_.jpg)
![[사회복지실천론] 자아심리학에 대해서-3157_03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206/%5B%EC%82%AC%ED%9A%8C%EB%B3%B5%EC%A7%80%EC%8B%A4%EC%B2%9C%EB%A1%A0%5D%20%EC%9E%90%EC%95%84%EC%8B%AC%EB%A6%AC%ED%95%99%EC%97%90%20%EB%8C%80%ED%95%B4%EC%84%9C-3157_03_.jpg)
![[사회복지실천론] 자아심리학에 대해서-3157_04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206/%5B%EC%82%AC%ED%9A%8C%EB%B3%B5%EC%A7%80%EC%8B%A4%EC%B2%9C%EB%A1%A0%5D%20%EC%9E%90%EC%95%84%EC%8B%AC%EB%A6%AC%ED%95%99%EC%97%90%20%EB%8C%80%ED%95%B4%EC%84%9C-3157_04_.jpg)
![[사회복지실천론] 자아심리학에 대해서-3157_05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206/%5B%EC%82%AC%ED%9A%8C%EB%B3%B5%EC%A7%80%EC%8B%A4%EC%B2%9C%EB%A1%A0%5D%20%EC%9E%90%EC%95%84%EC%8B%AC%EB%A6%AC%ED%95%99%EC%97%90%20%EB%8C%80%ED%95%B4%EC%84%9C-3157_05_.jpg)
1. 심리사회적 성격발달에 대한 관점
(1) 현실검증
㉱ 1949년 개인의 자유와 학문의 자유를 위협하는 충성서약서 서명 거절로 캘리포니아 대학당국으로부터 추방당한 후 메사추세츠의 오스틴 릭스센터에서 수석자문위원으로 1960년 까지 일했다.
(6) 자아의 서비스에서의 적응적 퇴행
1. 자아심리학 이론(理論)가의 성격에 대한 관점
제4절 심리사회적 발달단계
5. 대상관계
∴ 사회적인, 文化(culture) 적인 그리고 environment적인 요소들을 점점 더 중요시 하면서
2. 치료목적
사회복지실천론,자아심리학
(11) 종합 ․통합기능
Download : [사회복지실천론] 자아심리학에 대해서.hwp( 84 )
(4) 욕동, 감정, 충동의 규제와 통제
6) 친밀성 대 소외
심리分析이론을 극복해나갔다. AmErikson에서의 세대간 차이, 인종적인 긴장, 유대인의 비행, 變化하는 성적인 역할, 핵전쟁의 위험과 같은 급속한 사회적인 變化에 관심이 많았다.
2) 자율성 대 수치심과 의심
제6절 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
3. 방어의 定義(정의)
7) 생산성 대 침체
(3) 세계와 자기에 대한 현실감
[사회복지실천론] 자아심리학에 관련되어
다. 어머니가 소아과 의사인 Homberger 박사와 재혼하면서 의붓아버지와 함께 살았다. Erikson은 수년이 지나서야 Homberger 박사가 자신의 생부가 아님을 알았다.
2) 총체적인 존재로서의 인간 - 環境(환경) 속의 존재로 규정
㉯ Erikson은 히틀러의 탄압에 의해 1933년 유럽을 떠나 미국보스턴으로 가서 그 도시에 최초로 아동정신分析가로 개업하였다.
Am Erikson이라는 인디언 어린이 집단을 연구하게 되었다. 동부의 보스턴에서 3년을 보낸 후 서부의 예일대학에서 1936까지 지냈다. 비록 formula적인 학위는 갖지 않았지만 하버드 대학의 교수로 임명되었고 은퇴할 때 까지 그곳에서 일했다. (5) 사고과정
(9) 자율적 기능
(8) 자극장애
제7절 자아심리학으로 分析(분석)한 事例
3) 가변성을 지닌 존재로서의 인간
규정
1. 자아심리학 이론가의 성격에 대한 관점 1) Erik Erikson(1902-1994)의 생애 제1절 인간관 1) 합리적인 존재, 창조적 존재로서의 인간으로 규정 2) 총체적인 존재로서의 인간 - 환경 속의 존재로 규정 3) 가변성을 지닌 존재로서의 인간 제2절 기본가정 제3절 주요개념 1. 자아기능 (1) 현실검증 (2) 판단 (3) 세계와 자기에 대한 현실감 (4) 욕동, 감정, 충동의 규제와 통제 (5) 사고과정 (6) 자아의 서비스에서의 적응적 퇴행 (7) 방어기제 (8) 자극장애 (9) 자율적 기능 (10) 숙달 - 유능함 (11) 종합 ․통합기능 2. 자아강점 3. 방어의 개념 4. 자아숙달과 적응 5. 대상관계 제4절 심리사회적 발달단계 1. 심리사회적 성격발달에 대한 관점 2. 심리사회적 발달의 단계별 특성 1) 기본적 신뢰감 대 불신감 2) 자율성 대 수치심과 의심 3) 솔선성 대 죄의식 4) 근면성 대 열등감 5) 자아정체감 대 정체감 혼란 6) 친밀성 대 소외 7) 생산성 대 침체 8) 자아통합 대 절망 제5절 Erikson 이론의 평가 제6절 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 1. 심리적 건강과 증상에 대한 관점 2. 치료목적 3. 치료자의 역할과 실무원칙 4. 치료적 기법 제7절 자아심리학으로 분석한 사례 사례. Erikson의 생산성 대 침체단계를 만족스럽게 해결하지 못했을 때 야기되는 중년의 위기
제2절 기본가정
설명
4) 근면성 대 열등감
제3절 주요定義(정의)
㉮ 25세에 Erikson은 Anna Freud가 설립한 비엔나의 학교에서 아이들을 지도해 달라는 제안을 받았으며,그 곳에서 Anna Freud의 지도하에서 아동정신分析 수련을 받았다.
1. 자아심리학 이론가의 성격에 대한 관점
1) 기본적 신뢰감 대 불신감
자아심리학자들은 사회文化(culture) 적 environment이 성격발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