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모사공학2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7-21 18:50
본문
Download : 자연모사공학2.hwp
몸통 길이가 1mm정도로 아주 작은 이 벌은 오랫동안 공중의 한 정점에서 정지 비행하는 독특한 움직임을 보였다. 선박의 추진장치 등에 적용되는 이 메커니즘은 유연하게 헤엄치는 수중생물이 아닌, 공중을 나는 벌을 통해 얻은 아이디어다. 이 벌은 몸통을 수직으로 유지한 채 날개를 수평면으로 회전 운동시켜 정지비행을 행한다. 와이즈 포 교수는 이 벌의 정지 비행을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비디오로 날개의 움직임을 촬영했다. 그리고 몸통의 배쪽에서 날개를 반전해 다시 수평면으로 이동한 후, 등쪽에서 전연(윗끝)을 맞닿은 상태에서 회전해 닫히는 동작을 반복한다.
그리고 이 메커니즘을 처음 발견한 교수의 이름을 따서 ‘와이즈 포 메커니즘’이라고 이름 지었다. 와이즈 포 교수는 이 벌의 날개 움직임이 독특하다는 것을 발견은 했지만 어떻게 해서 추진력이 발생하는지는 알 수가 없어, 이 벌의 날개 동작을 유체역학적으로 해석, 새롭고 독특한 메커니즘으로 양력을 발생시키고 있음을 증명했다.
벌들은 어떻게 하는지 더 자세히 알아보자!
벌들은 어떻게 비행하는가
벌들은 속도계, 자이로스코프(gyroscopes), 햇빛의 편광을 탐지하여 작동하는 새로운 관념의 나침반(compass), 수평면에서 기울어짐을 측정(measurement)하기 위해 이용하는 자외선 센서, 7,000 여개의 육면체 홑눈(hexagonal (six-sided) facets)들이 모여 이루어진 두 개의 겹눈(compound eyes)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홑눈들은 각기 렌즈와 빛을 탐지하는 세포들을 가진 초소형 튜브들에 연결되며, 각 튜브들은 각기 다른 방향들을 탐지하도록 조정되어 아주 넓…(skip)



다.
먼저 날개가 몸통의 등쪽에서 후연(아래끝) 부분을 맞닿은 상태에서 열려, 그 후 어느 일정한 열림각을 유지하면서 몸통을 중심으로 수평면으로 이동한다.
자연모사공학2
레포트/공학기술
Download : 자연모사공학2.hwp( 47 )
자연모사공학,공학기술,레포트
순서
설명
자연모사공학2
자연모사공학2 , 자연모사공학2공학기술레포트 , 자연모사공학
4. 선박의 추진장치
1970년 초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 생물학 교수인 와이즈 포(Weis-Fogh)는 어느 날 작은 벌이 정지 비행하는 것을 observation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