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ORT] [인문사회] 남북관계와 한국정치 / 남북관계와 한국정치 徐 鎭英 (고려대학교 교수)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5-20 02:51
본문
Download : 남북관계와 한국정치.hwp
1) 이와 같은 현상은 아마도 우리들의 인식세계가 부지불식간에 분단국의 정치학에 매몰되어 있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즉, 한국과 북한을 두개의 완전히 별개의 국가 또는 정권으로 간주하고, 한국정치론과 북한정치론을 독립적인 두개의 분야로 인식하거나, 또는 상대방을 전혀 무시하고 한쪽의 논리만을 지나치게 강조하고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한국정치에 대한 연구나 남북관계 그 자체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남북한관계가 한국정치에 어떻게 투영되고 있으며, 역으로 한국정치가 남북한 관계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은 별로 눈에 띄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미 잘 알려 진 바와 같이 해방이후 분단과 전쟁, 그리고 남북한의 대립과 대결상황은 한반도 정치에 심각하고도 구조적인 제약요인으로 작용하여 왔다. 사실, 이같은 제약요인은 남한과 북한에 수립된 정권...
인문사회 남북관계와 한국정치 / 남북관계와 한국정치 徐 鎭英 고려대학교 교수
Download : 남북관계와 한국정치.hwp( 35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인문사회] 남북관계와 한국정치 / 남북관계와 한국정치 徐 鎭英 (고려대학교 교수)
순서
설명





남북관계와 한국정치 徐 鎭英 (고려대학교 교수) ------------...
다. 그러나 한국과 북한을 두개의 독립적인 政體로 보는 경우에도 우리는 남북관계는 한국의, 또는 북한의 외적 environment으로 여전히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것이며, 구태여 연계이론(理論)적 시각을 원용하지 않더라도 남북한관계가 한국이나 북한정치에 중요한 변수일 수 밖에 없고, 동시에 한국이나 북한의 국내정치가 반대로 남북한관계의 alteration(변화) 에 중요한 영향을 주고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더구나 남북한이 모두 단일 민족국가를 지향하고 있다는 점을 인정한다면, 남북한관계와 한국정치, 또는 북한정치는 떼어 낼래야 떼어 낼 수 없는 상관 관계가 있다고 하겠다. 남북관계와 한국정치 徐 鎭英 (고려대학교 교수) ------------...
남북관계와 한국정치 徐 鎭英 (고려대학교 교수) ------------------------------------------------------ (1) 이 글의 범위 설정 한국정치나 남북관계에 대한 연구는 사실 요약하기 힘들 정도로 양적인 측면에서나 질적인 측면에서 다양하고 광범위하게 전개되고 있다 그러나 남북관계와 한국정치의 상호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생각보다는 많지 않고, 그것도 대단히 원론적인 차원에서만 언급되고 있는 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