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화구조론 (조동일, 최래옥, 레비스트로스, 던데스, 톰슨의 설화구조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7-12 09:10
본문
Download : 설화구조론 (조동일, 최래옥, 레비스트로스, 던데스, 톰슨의 설화구조론).hwp
❑ 조동일
❑ 최래옥
❑ 레비-스트로스
❑ 던데스
❑ 톰슨
이 설화의 바탕에는 몇 가지 대립요소가 맞물려서 병립적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신선비와 세 딸이 `남(男)/여(女)` 및 `성(聖)/속(俗)`의 대립관계를 이루며, 막내딸과 두 언니도 `선(善)/악(惡)`(또는 유능/무능)으로서의 대립관계를 맺고 있다 거기에 신선비가 그 자체 `표면(징그러움)/이면(훌륭함)`의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이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여러 요소가 서사적 흐름과 맞물리는 가운데 이 설화는 또 다른 차원의 의미를 드러낸다. , 설화구조론 (조동일, 최래옥, 레비스트로스, 던데스, 톰슨의 설화구조론)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설화구조론 (조동일, 최래옥, 레비스트로스, 던데스, 톰슨의 설화구조론).hwp( 15 )
설화구조론 (조동일, 최래옥, 레비스트로스, 던데스, 톰슨의 설화구조론)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_hwp_05.gif)
_hwp_06.gif)
다. 아무쪼록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다들 좋은 점수 받으시길 바랍니다. 그 각각의 대립과 맞물려 `행(幸)/불행(不幸)`이 엇갈리는 것이 이 설화의 구조적 속성 이다.순서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설화의 구조론에 관하여 조동일,최래옥,레비스트로스,던데스,톰슨의 시각에서 분석하고 상세히 조사하여 그 내용을 담았습니다. 아무쪼록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다들 좋은 점수 받으시길 바랍니다. 막내딸이 두 언니와 달리 표면의 모습 대신 이면의 본성을 선택하는 데서, 감춰진 미덕(美德)의 가치를 중시하는 세계관이 표출된다된다. 행복에 대한 소박한 꿈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갖가지 요소를 감당해 나가야 한다는 인식이 그 속에 담겨 있다
그러나 레비스트로스는 그가 원시인의 신념에 있어서 의미 있다고 생각한 어떤 공통적 속성 에 의해 기둥 안에서 신화소들을…(drop)
,인문사회,레포트
설화의 구조론에 관하여 조동일,최래옥,레비스트로스,던데스,톰슨의 시각에서 분석하고 상세히 조사하여 그 내용을 담았습니다. 막내딸과 두 언니의 다툼을 통해서는 선과 악의 대립 갈등으로서의 인간의 삶이 문제시되며, 신선비가 금기를 내리고 또한 일방적으로 길을 떠나는 데서 세속에 대한 신성(神聖)의 우위, 또는 여성에 대한 남성의 우위가 문제시된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