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수 ]두만강 개발사업의 국익갈등과 국제협력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5-12 12:47
본문
Download : [우수자료]두만강 개발사업의 국익갈등과 국제협력.hwp
99년 4월 22일에는 china의 훈춘시, 러시아 하산시, UN(ROK Resident Coordinator)과 UNWPC 위원장 등 4자간에 이 사업의 계획에 公式 서명하였다. 제1지구는 회령지구인에 여기에는 화훼단지건설로 평화시의 상징적 중심지역으로 개발한다. 이 사업은 북한의 나진 선봉지역 개발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북한에 대하여 언제든지 문호를 개방하고 있따
이 평회시는 4개 지구로 나뉘어 건설할 예정이다. 러시아는 98년에 사업에 동참하기로 하였다. 이 사업은 약 750억 달러의 예산이 소요되고 있따 따라서 엄청난 예산도 예산이려니와 각국간의 이해의 조정과 협력이 무엇보다도 중요하기 때문에 이러한 제약이 해결…(생략(省略))
Ⅴ. 다국적 개발협력 instance(사례)
설명
순서
Ⅰ. 서론
레포트/인문사회
Ⅰ. 서론 Ⅱ. 두만강지역 개발사업의 전개 Ⅲ. 역내외 환경의 변화 Ⅳ. 인접국들의 국익갈등 Ⅴ. 다국적 개발협력 사례 Ⅵ. 결론두만강개발사업의국익갈등과국제협력 , [우수자료]두만강 개발사업의 국익갈등과 국제협력인문사회레포트 ,
두만강개발사업의국익갈등과국제협력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우수자료]두만강 개발사업의 국익갈등과 국제협력.hwp( 32 )
Ⅲ. 역내외 환경의 change(변화)
Ⅱ. 두만강지역 개발사업의 전개
![[우수자료]두만강%20개발사업의%20국익갈등과%20국제협력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A%B0%EC%88%98%EC%9E%90%EB%A3%8C%5D%EB%91%90%EB%A7%8C%EA%B0%95%20%EA%B0%9C%EB%B0%9C%EC%82%AC%EC%97%85%EC%9D%98%20%EA%B5%AD%EC%9D%B5%EA%B0%88%EB%93%B1%EA%B3%BC%20%EA%B5%AD%EC%A0%9C%ED%98%91%EB%A0%A5_hwp_01.gif)
![[우수자료]두만강%20개발사업의%20국익갈등과%20국제협력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A%B0%EC%88%98%EC%9E%90%EB%A3%8C%5D%EB%91%90%EB%A7%8C%EA%B0%95%20%EA%B0%9C%EB%B0%9C%EC%82%AC%EC%97%85%EC%9D%98%20%EA%B5%AD%EC%9D%B5%EA%B0%88%EB%93%B1%EA%B3%BC%20%EA%B5%AD%EC%A0%9C%ED%98%91%EB%A0%A5_hwp_02.gif)
![[우수자료]두만강%20개발사업의%20국익갈등과%20국제협력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A%B0%EC%88%98%EC%9E%90%EB%A3%8C%5D%EB%91%90%EB%A7%8C%EA%B0%95%20%EA%B0%9C%EB%B0%9C%EC%82%AC%EC%97%85%EC%9D%98%20%EA%B5%AD%EC%9D%B5%EA%B0%88%EB%93%B1%EA%B3%BC%20%EA%B5%AD%EC%A0%9C%ED%98%91%EB%A0%A5_hwp_03.gif)
![[우수자료]두만강%20개발사업의%20국익갈등과%20국제협력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A%B0%EC%88%98%EC%9E%90%EB%A3%8C%5D%EB%91%90%EB%A7%8C%EA%B0%95%20%EA%B0%9C%EB%B0%9C%EC%82%AC%EC%97%85%EC%9D%98%20%EA%B5%AD%EC%9D%B5%EA%B0%88%EB%93%B1%EA%B3%BC%20%EA%B5%AD%EC%A0%9C%ED%98%91%EB%A0%A5_hwp_04.gif)
![[우수자료]두만강%20개발사업의%20국익갈등과%20국제협력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A%B0%EC%88%98%EC%9E%90%EB%A3%8C%5D%EB%91%90%EB%A7%8C%EA%B0%95%20%EA%B0%9C%EB%B0%9C%EC%82%AC%EC%97%85%EC%9D%98%20%EA%B5%AD%EC%9D%B5%EA%B0%88%EB%93%B1%EA%B3%BC%20%EA%B5%AD%EC%A0%9C%ED%98%91%EB%A0%A5_hwp_05.gif)
![[우수자료]두만강%20개발사업의%20국익갈등과%20국제협력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A%B0%EC%88%98%EC%9E%90%EB%A3%8C%5D%EB%91%90%EB%A7%8C%EA%B0%95%20%EA%B0%9C%EB%B0%9C%EC%82%AC%EC%97%85%EC%9D%98%20%EA%B5%AD%EC%9D%B5%EA%B0%88%EB%93%B1%EA%B3%BC%20%EA%B5%AD%EC%A0%9C%ED%98%91%EB%A0%A5_hwp_06.gif)
Ⅳ. 인접국들의 국익갈등
Ⅵ. 結論
[우수 ]두만강 개발사업의 국익갈등과 국제협력
다. 제3지구는 경신지역으로 친環境(환경)적인 생태보존 및 레져학습단지로 개발한다.
일반적으로 이 지역에 대한 개발구상은 경제개발과 관광위주로 계획되어 있는데 평회시 건설은 세계평화유지, 環境(환경)보존 및 친環境(환경)적 개발, 에너지 절약 및 생태관광, 지역경제발전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그림 참조).
이 계획은 3단계에 걸쳐 개발되는 15개년 계획인데 3%개발 97% 보존을 목표(目標)로 한다. 제 4 지구는 러시아의 포시에트와 자루비노, 그리고 북한의 라진 선봉지역으로서 평화시에 사회기반시설의 제공을 위한 배후도시로 개발한다. UN 평화시(UNWPC : United Nations World Peace Center)는 두만강 하류 3국 접경지역에 친경제적 개발을 통하여 항구적인 평화와 번영을 강화하기 위하여 UN평화시(이하 평화시) 건설을 제안하고 개발을 주도하고 있따 UNWPC의 설립은 투자유치, 기반시설 건설, 경제개발로서 인력, culture, 자원의 3국간의 상호교환을 원활히 하여 지역주민의 빈곤의 퇴치와 번영을 도모하고 있다(UNWPC, 2000).
95년 10월에 china정부는 3국 접경지역의 개발을 위해 330 ㎢를 제공하기로 약속하였다. 제2지구는 방천을 중심으로 한 3국 접경지역으로 UNPWC 관련시설 등 국제기구들 이 입주하여 행정중심지역으로 개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