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통문화의 이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7-21 15:19본문
Download : 한국전통문화의 이해.hwp
레포트/생활전문
한국전통문화,이해,생활전문,레포트
설명
제3장 관혼상제
관혼상제(관례, 혼례, 상례, 제례)와 통과의례(출생의례, 성년식, 결혼식, 장례식)
예치를 중시한 주자학(4례의 표준, 주자가례) → 우리나라 실정에 맞춘 사례(instance)편람(이재)
1.출산의례와 관례
기자, 출산, 관례
(1) 기자(祈子)
자녀, 특히나 아들을 기원하는 행위.
①치성기자: 주술 없이 치성만 드리는 경우.
㉠산치성(산제, 山祭): 가장 보편적 방식. 거석기암, 샘, 샘바위, 거목 등이 치성물이 됨.
㉡절치성: 절에 가서 스님이 치성의 방법을 알려주어 그대로 행함. 백일기도.
㉢집치성: 집의 모퉁이에서 손없는 방향으로 가족들 모르게 새벽마다 정화수, 음식 등을 장만하여 비는 것. 대상은 주로 칠성님, 조왕님, 삼신할머니.
②주술기자: 아기를 낳기 위해 특별한 행위를 하거나 별다른 음식을 먹는 것. 몰래 하는 것이 특징
※ 금기: 임신이후부터 출산하기까지 지켜야 하는 것. 음식물 금기와 행위 금기로 나뉨.
(...
제3장 관혼상제
관혼상제(관례, 혼례, 상례, 제례)와 통과의례(출생의례, 성년식, 결혼식, 장례식)
예치를 중시한 주자학(4례의 표준, 주자가례) → 우리나라 실정에 맞춘 사례(instance)편람(이재)
1.출산의례와 관례
기자, 출산, 관례
(1) 기자(祈子)
자녀, 특히나 아들을 기원하는 행위.
①치성기자: 주술 없이 치성만 드리는 경우.
㉠산치성(산제, 山祭): 가장 보편적 방식. 거석기암, 샘, 샘바위, 거목 등이 치성물이 됨.
㉡절치성: 절에 가서 스님이 치성의 방법을 알려주어 그대로 행함. 백일기도.
㉢집치성: 집의 모퉁이에서 손없는 방향으로 가족들 모르게 새벽마다 정화수, 음식 등을 장만하여 비는 것. 대상은 주로 칠성님, 조왕님, 삼신할머니.
②주술기자: 아기를 낳기 위해 특별한 행위를 하거나 별다른 음식을 먹는 것. 몰래 하는 것이 특징
※ 금기: 임신이후부터 출산하기까지 지켜야 하는 것. 음식물 금기와 행위 금기로 나뉨.
(2)출산
산실 아랫목에는 산모가 짚을 깔고 눕고, 산실 윗목에는 삼신상을 차려둠.
①난산 때의 주술적 방법
㉠산모에게 물건을 부착하는 방법
㉡산모에게 무언가를 먹이는 방법
㉢산모의 자리를 옮기는 방법
㉣가족들이 특정한 행위를 하는 것
②출산 이후
㉠3일 째: 목욕, 가족들 산실출입, 탯줄처리(혹은 3일 이전에)
㉡생후 7일째(한이레): 쌀깃(강보)을 벗기고 동여맸던 팔 하나를 풀어 놓음.
㉢생후 14일째(두이레): 두렁이를 입히고 나머지 팔 하나를 풀어 놓음.
㉣생후 21일째(세이레): 위의 옷을 제대로 갖춰 입힘.
쌀깃(강보)
두렁이
두렁이를 입은 모습
③금줄
왼새끼를 사용하여 인줄을 만들어 정문, 방문에 달아 둠. 외인 특히, 부정한 사람(상주, 상가사람 등)의 출입을 금하고자 함. 일종의 분리의례.
- 남아의 경우 숯, 짚, 고추
- 여아의 경우 숯, 짚, 종이 혹은 솔잎
④백일
출생 후 100일이 된 날에 치르는 의례로 가장…(생략(省略))
한국전통문화의 이해 , 한국전통문화의 이해생활전문레포트 , 한국전통문화 이해
한국전통문화의 이해
한국전통문화의 이해



Download : 한국전통문화의 이해.hwp( 82 )
순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