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 실천대상과 접근방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0-29 00:38본문
Download :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 실천대상과.hwp
또한 체계론적 관점에 의하면 개인은 내적으로 신체적, 사회적, 정서적, 인지적 측면 등의 하위체계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고, 개인을 중심으로 보면 개인으로 구성된 가족, 소집단, 조직, 지歷史회, 국가사회, 文化(culture) , 대륙 등과 같은 상부체계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체계에는 동등한 위상의 등위체계, 하위체계, 상위체계가 있고 이들은 위상이나 수준에 관계없이 상호관계를 가지며 effect(영향) 을 주고받을 수 있다
-- 개인이 가족, 소집단, 조직, 지역싸회, 국가사회를 구성하고 있고 그 개인을 구성하는 각각이 또한 사회복지의 대상이 되지만 결국은 각 대상의 核心에는 개인이 있다아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개인은 개인을 둘러싸고 있는 사회체계나 environment에 影響을 미치고 또한 다른 체계도 개인의 복리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影響을 미치게 된다된다.2)theory 의 요점 : 사회체계theory 에는 몇 가지 중요한 용어가 있다 첫째, 체계는 상호관련을 갖고 있는 일련의 단위(하위 및 상위체계)를 말하고 둘째, 경계는 체계와 다른 체계를 구분 짓는 지점을 말하는데, 물리적인 것보다는 관념적인것이다. 사회복지의 실천대상은 결국 개인과 개인의 복리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影響을 미치는 사회체계나 environment을 變化(변화)시켜 개인의 복리를 향상시키는 활동이라 할 수 있다아또한, 사회복지의 대상을 속성 적으로 어떻게 분류하는 것이 사회복지의 학문적 연구와 실천을 위해 바람직한가를 생각해보고 그러한 실천대상에 대하여 어떤 방법으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한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아
설명
순서
Download :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 실천대상과.hwp( 68 )
-- 개인이 가족, 소집단, 조직, 지역사회, 국가사회를 구성하고 있고 그 개인을 구성하는 각각이 또한 사회복지의 대상이 되지만 결국은 각 대상의 핵심에는 개인이 있다.
3. 사회체계의 구분과 사회복지의 실천대상 체계-- 사회체계는 수준에 따라 2가지, 3가지, 4가지로 구분하고 있으며, 이는 사회복지 실천대상을 구분하고 구조를 구분하는 요소가 된다 사회체계의 수준을 2차원으로 구분하는 것은 미시체계와 거시체계로 구분하는 것이다.또한, 사회복지의 대상을 특성적으로 어떻게 분류하는 것이 사회복지의 학문적 연구와 실천을 위해 바람직한가를 생각해보고 그러한 실천대상에 대하여 어떤 방법으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한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 실천대상과 접근방법
2. 개인과 사회체계의 문제해결 시각(theory 적 관점)1)체계theory 적 관점의 중요성 : 사회복지학의 개론적 수준에서의 이해와 사회복지의 기초적 실천의 근거theory 으로 사회체계theory 과 생태체계theory 을 이해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고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사회체계theory 과 생태체계theory 은 다른 면도 있으나 전반적으로는 큰 차이가 없이 공통적 특성이 많기 때문에 여기서는 두 가지 theory 을 통칭하여 체계theory 적 관점이라 하겠다. 4차원 구분은 미시체계, 중간체계, 외부체계, 거시체계로 나눈 것이다.3차원 구분은 사회체계를 미시체계, 중간체계, 거시체계로 구분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미시체계에 개인, 가족, 소집단, 조직의 일부까지 포함시키며, 중간체계는 앞의 다른 구분에서와는 달리 미시체계에 속하는 체계들간의 관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고 있고, 외부체계는 제도적 조직(학교 등), 지방government , 지歷史회 등을 포함하고 있고, 거시체계는 국가사회, 사회제도 등을 포함시키고 있다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 실천대상과-8080_01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206/%5B%EC%82%AC%ED%9A%8C%EB%B3%B5%EC%A7%80%EC%8B%A4%EC%B2%9C%EB%A1%A0%5D%20%EC%82%AC%ED%9A%8C%EB%B3%B5%EC%A7%80%20%EC%8B%A4%EC%B2%9C%EB%8C%80%EC%83%81%EA%B3%BC-8080_01_.jpg)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 실천대상과-8080_02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206/%5B%EC%82%AC%ED%9A%8C%EB%B3%B5%EC%A7%80%EC%8B%A4%EC%B2%9C%EB%A1%A0%5D%20%EC%82%AC%ED%9A%8C%EB%B3%B5%EC%A7%80%20%EC%8B%A4%EC%B2%9C%EB%8C%80%EC%83%81%EA%B3%BC-8080_02_.jpg)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 실천대상과-8080_03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206/%5B%EC%82%AC%ED%9A%8C%EB%B3%B5%EC%A7%80%EC%8B%A4%EC%B2%9C%EB%A1%A0%5D%20%EC%82%AC%ED%9A%8C%EB%B3%B5%EC%A7%80%20%EC%8B%A4%EC%B2%9C%EB%8C%80%EC%83%81%EA%B3%BC-8080_03_.jpg)
사회복지실천론,사회복지 실천대상,사회복지접근방법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다. 미시체계에는 개인이 속하고, 중간체계에는 가족, 소집단이 속하고, 거시체계에는 조직, 지歷史회, 국가사회가 속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3차원 구분은 2차원 구분에서 미시차원에 속한 가족, 소집단을 따로 분리하여 중간체계를 하나 더 설정한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개인은 개인을 둘러싸고 있는 사회체계나 환경에 영향을 미치고 또한 다른 체계도 개인의 복리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미시체계에 해당하는 사회체계의 예는 개인, 가족, 소집단이고 거시체계에 해당하는 사회체계의 예는 조직, 지歷史회, 국가사회이다. 사회복지의 실천대상은 결국 개인과 개인의 복리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사회체계나 환경을 변화시켜 개인의 복리를 향상시키는 활동이라 할 수 있다. 셋째, 종착경로다양성이란 최종적 상태에 도달할 수 있는 방법은 다양하고 한가지 상황도 여러 가지의 의미를 가질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