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少年(청소년) 기 개념, definition , 靑少年(청소년) 전기의 특징, 靑少年(청소년) 후기, proper…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0-15 13:59
본문
Download : 청소년기 개념, 정의, 청소년 전기의.hwp
또한 자신이 가진 신념이나 도덕적 기준도 자기concept(개념)의 중요한 요소이다(이규미, 1998).
순서
靑少年(청소년) 기 개념, definition , 靑少年(청소년) 전기의 특징, 靑少年(청소년) 후기, property(특성), 靑少年(청소년) 기의 부適應 행동, 사회복지 실천과의 연관성
3. 靑少年(청소년) 기의 부適應 행동 - 27p~26p
설명
(2) 직업선택 - 11.12.13.14.15.16.17p
(3) 성역할 정체감 - 20p
2. 靑少年(청소년) 후기 - 8p~20p
청소년기,청소년 전기의 특징, 청소년 후기, 특성, 청소년기의 부적응 행동, 사회복지 실천과의 연관성
(1) 신체적 측면 - 3.4.5p
Download : 청소년기 개념, 정의, 청소년 전기의.hwp( 39 )
2) 靑少年(청소년) 후기의 property(특성)
1) 개념 - 3p
1) 개념 - 8p
2) 집단따돌림 - 23.24.25p
1. 靑少年(청소년) 전기 - 3p~8p
3) 인터넷(Internet) 중독 - 25p
1) 靑少年(청소년) 자살 - 21.22.23p
(2) 심리적 측면 - 5.6p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3) 사회적 측면 - 7.8p
1. 청소년 전기 - 3p~8p 1) 개념 - 3p 2) 청소년 전기의 특성 (1) 신체적 측면 - 3.4.5p (2) 심리적 측면 - 5.6p (3) 사회적 측면 - 7.8p 2. 청소년 후기 - 8p~20p 1) 개념 - 8p 2) 청소년 후기의 특성 (1) 정체감 - 8.9.10.11p (2) 직업선택 - 11.12.13.14.15.16.17p (3) 성역할 정체감 - 20p 3. 청소년기의 부적응 행동 - 27p~26p 1) 청소년 자살 - 21.22.23p 2) 집단따돌림 - 23.24.25p 3) 인터넷 중독 - 25p 4) 섭식장애 - 25.26p 4. 사회복지실천과의 연관성 - 27p
(1) 정체감 - 8.9.10.11p
4) 섭식장애 - 25.26p
19세기에 Willian James(1890)는 자기(self)란 한 개인이 자기 것이라고 말할 수 있는 모든 것으로 定義(정이)하고, 사적인 자기(I)와 공적인 자기(Me)를 구분해 설명(說明)하였다.





Erikson(1968)에 의하면 adolescent(청소년)기 자아정체성 탐색은 자신의 생애를 시간적으로 계획할 수 있는 시간concept(개념)의 균형 대 혼돈, 자신의 가능성에 대한 자아확신 대 무력감,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에 대한 역할실험 대 부정적 자아, 자신이 성취할 수 있는 일과 수준에 대한 성취기대 대 과업마비, 남성 또는 여성으로서의 성적 特性을 확립해 가는 성적 자아 대 양성적 혼돈, 가정 또는 사회에서 지도자로서의 자신의 역량을 탐색해 가는 지도성의 확립 대 권위상실, 철학․종교․정치․사회․제도 등에 대한 관념의 확립 대 현실과 이상간의 분리라는 많은 영역에서의 양극 적인 혼돈과 위기를 경험하고 이를 극복해 가는 과정을 의미한다.
4. 사회복지실천과의 연관성 - 27p
2) 靑少年(청소년) 전기의 property(특성)
Erikson theory(이론)에서 자아정체성이란 개인이 자신의 자아가 연속성과 동일성을 갖는 것으로 경험하고, 또한 그렇게 행동하도록 하는 능력(Erikson, 1968)을 의미한다.
즉, 자아concept(개념)이란 내가 누구이며 다른 사람과 어떻게 비슷하고 어떻게 다른지 아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스스로 판단하고 인식하는 자기의 개인적 特性을 인식하는 것이다. 즉 경험하고 생각하는 주체로서의 자기와 influence(영향)을 받고 생각되는 대상으로서의 자기가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adolescent(청소년)기는 어느 때 어느 장면에서건 내가 누구인가에 대해 일관성 있게 동일한 자기인식을 가지며 그렇게 행동할 수 있는 능력을 갈등과 혼돈을 겪으며 확립해 가는 시기이다(박아청, 1984).
다. 아동기의 자아concept(개념)은 구체적인 신체적 특징과 활동, 능력 등으로 인식되지만 adolescent(청소년)기의 자아concept(개념)은 신체, 외모와 같은 외적 特性뿐만 아니라 심리적, 개인적, 대인 관계적 特性과 같이 보다 많은 영역에 걸쳐 인식된다 즉 자신의 성격 特性, 정서, 소망, 동기, 태도, 대인적 特性, 가치관 등 자기 concept(개념) 안에 포함되는 내용은 매우 다양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