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 문화 - 우리나라의 전통음악introduction, 전통음악의 현실과 문제점, 전통음악의 未來연구 의의, 전통음악의 …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11-23 11:07본문
Download : 동아시아 문화 - 우리나라의 전통음악.hwp
동아시아 문화 - 우리나라의 전통음악introduction, 전통음악의 현실과 문제점, 전통음악의 未來연구 의의, 전통음악의 바람직한 계승과 발전방향
1. 우리나라의 전통음악 소개 2. 전통음악의 현실과 문제점 3. 전통음악의 미래연구 의의 4. 전통음악의 바람직한 계승과 발전방향 5. 맺음말
Download : 동아시아 문화 - 우리나라의 전통음악.hwp( 70 )
5. 맺음말
악조 : 슬픈 계면조, 화평스러운 평조, 웅장한 우조, 씩씩한 설렁제(드렁조), 경쾌한 경드름(경조)등을 판소리의 극적 내용의 희로애락에 따라 적절하게 가려 쓴다.





ㄴ.사물놀이
4. 전통음악의 바람직한 계승과 발전방향
1. 우리나라의 전통음악 introduction
다.
긴 줄거리의 이야기를 한 사람의 소리꾼이 소리(노래), 아니리(말), 발림(몸짓)등으로 감정을 극적으로 표현해 가면서 고수의 북장단에 맞추어 부르는 민속예술로 중요무형文化(문화)제 제5호로 지정되었다.
3. 전통음악의 未來연구 의의
사물이란 원래 절에서 불교의식 때 쓰인 법고·운판·목어·범종의 네 악기를 가리키던 말이었으나 뒤에 이것이 북·징·목탁·태평소로 바뀌고 지금은 다시 북·장구·징·꽹과리의 네 민속타악기로 바뀌어, 일반적으로 사물놀이라고 하면 이 네 종류의 악기로 연주되는 음악과 그 음악에 의한 놀이를 가리키게 되었다. 2. 전통음악의 현실과 문제점
ㄱ.판소리
설명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순서
판소리 열두마당(춘향가, 심청가, 수궁가, 흥보가, 적벽가, 배비장타령, 변강쇠타령, 장끼타령, 옹고집타령, 무숙이타령, 강릉매화타령, 가짜신선타령) 중 춘향가, 심청가. 흥보가(박타령), 수궁가(토별가), 적벽가만 보다 예술적인 음악으로 가다듬어져 판소리다섯마당으로 전승되며, 가루지타령(변강쇠가)를 포함시켜 판소리여섯마당이라 부르기도 한다.
동아시아 문화,전통음악소개, 전통음악의 현실과 문제점, 전통음악의 미래연구 의의, 전통음악의 바람직한 계승과 발전방향
장단 : 느린 진양조, 중모리, 보통빠른 중중모리, 휘모리등 극적 내용에 따라 느리고 빠른 장단으로 구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