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대의 정신과 나의 생활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9-12 08:15
본문
Download : 조선대의 정신과 나의 생활.hwp
모더니즘 계열의 대표적 시인 김기림이 우리 대학에서 문학 강의를 하며 작시했다. 전국의 민주화 관련 …(To be continued )
조선대,정신과,나,생활,의약보건,레포트
순서
레포트/의약보건
설명
조선대의 정신과 나의 생활
다. 신군부에 의해 5.18 광주민주화 운동이 좌절된 후, 우리 대학은 유사 이래 가장 고통스런 시간으로 진입하게 되었다. 3.1운동 직후 민족의 선각자들에 의해서 시도되었던 민립대학운동이 비록 실패로 돌아갔으나, 광복과 더불어 광주에서 완벽한 모습으로 탄생한 것이다. 타율화의 상징처럼 되어 있던 조선대학교에 다시 자율화의 봉화가 높이 올랐다. 대학자율화 성명에 이어 평교수협의회 결성시도가 있었으나 경영진은 폭력으로 이를 억압했다. 20년 만에 민주화의 함성이 울려 퍼졌다. 조선대학교의 설립 모체가 된 설립동지회는 창조적 정신으로 인류사회에 이바지할 수 있는 개성있는 인재를 기르려는 개성교육과 교육의 장과 사회를 연결하는 생산교육을 통하여 국가 발전에 기여할 봉사하는 전문인을 양성하려는 생산교육, 폭넓은 장학지원을 통하여 우수한 자질을 갖춘 영재를 육성하는 영재교육 체계확립을 바탕으로 한 설립정신을 공표하였다.
Download : 조선대의 정신과 나의 생활.hwp( 29 )
조선대의 정신과 나의 생활 , 조선대의 정신과 나의 생활의약보건레포트 , 조선대 정신과 나 생활



조선대의 정신과 나의 생활
조선대의 정신과 나의 대학생활
조선대학교는 1946년 7만 2천여명의 설립동지회 회원에 의해 세계최초의 민립대학으로 설립되어 창조적인 지역인재를 양성하는 호남 최대 사학으로 발전했다. 민주화 운동에 참여한 교수들이 고발당하여 합동수사본부에 끌려갔고, 결국 30명이 해직되었다. 1980년 민주화 운동의 횃불이 크게 일었다. 이후 조선대학원으로 개칭되었다가 1948년에 들어 정규 대학인 조선대학으로 인가를 받았으며, 1953년 조선대학교라는 명칭의 종합대학으로 승격하는 과정을 밟았다. 1980년 민주화의 봄이 찾아 왔던 것이다. 우리 대학의 드높은 기상은 3절로 이루어진 교가 속에 함축되어 있다 일반적인 교과의 틀을 완전히 깨뜨릴 만큼 불굴의 의지를 강조하고, 열린 마음과 애국애족 정신으로 그것을 뒷받침하고 있는 웅혼한 가사가 사람들에게 격동을 일으킨다. 1946년 9월 29일, 광주야간대학원이라는 이름으로 설립 인가를 받아 역싸적인 개교를 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