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월시의 구조적 접근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7-11 21:45본문
Download : 목월시의 구조적 접근.hwp
단적으로 제시한다는 것은 <청록집>에 실린 대부분의 시들이 이러한 유형을 모태로 하면서 조금씩 다르게 변형되기 때문이다
내ㅅ사 애달픈 꿈꾸는 사람
내ㅅ사 어리석은 꿈꾸는 사람
밤마다 홀로
눈물로 가는 바위가 있기로
기인 한밤을
눈물로 가는 바위가 있기로
어느날에서
어둡고 아득한 바위에
절로 임과 하늘이 비치리오
화자는 ‘꿈꾸는 사람’이지만 시의 문맥에 따를 때 화자의 속성은 ‘애달픔’과 ‘어리석음’으로 나타난다.
1-1) <청록집>
목월의 초기 시는 두 세계로 나뉜다. 이것은 결국 꿈의 실현이 불가능함을 뜻한다. 대상으로 드러나는 임이 하늘과 병치되어 있음은 임과 하늘의 동일성을 암시한다. <임>이라는 시가 이러한 유형을 단적으로 제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다림 앞에 놓인 부사‘절로’는 삶에의 수동적 태도, 은밀한 기다림을 표상하기에 적절하다. 전반기는 <청록집>의 세계, 후반기는 <산도화>의 세계이다.레포트/기타
2. 목월시의 시기별 구조analysis(분석)
화자 대상 정서의 관계는 일차적으로 화자와 대상이 어떤 관계를 나타내느냐 하는 문제를 기본으로 한다. `눈물로 가는 바위‘가 ’임‘을 기다리고 있을 뿐,…(省略)
,기타,레포트
Download : 목월시의 구조적 접근.hwp( 15 )
순서
목월시의 구조적 접근에 대한 글입니다. ‘기인한밤’으로 표상되는 시간적 상황속에서 화자가 할 일은 마지막 연에서 볼 수 있듯이 그것은 기다림이다. <청록집>의 세계에서 우리가 읽는 화자는 ‘꿈꾸는 사람’, 대상은 ‘임’, 정서는 ‘슬픔’이다. 화자의 꿈의 대상인 임과 하늘이 절로 자신을 찾아줄 시간에의 기다림이다. 이 두 속성은 화자의 내면을 표상하면서 마침내, 눈물로 가는 바위라는 이미지로 발전한다.목월시의구조적접근 , 목월시의 구조적 접근기타레포트 ,
목월시의 구조적 접근에 대한 글입니다. 목월시를 그 구조적 유형에 따라 초기/중기/후기로 나눌 수 있는데 과연 어떠한 내용을 담고 있는지 알아보도록 한다. 물론 이것은 시가 본질적으로 자아와 세계, 혹은 화자와 대상이 상호융합된 세계라는 것을 전제로 한다.
화자와 대상의 관계는 화해이기보다는 불화의 양식으로 드러난다.
목월시의 구조적 접근
설명
목월시의구조적접근
다. 또한 화자와 대상은 불화의 관계로 드러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