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임오프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7-10 16:09본문
Download : 타임오프제.pptx
타임오프제의 의의
_SLIDE_6_
1. 타임오프(Time-Off) 제도의 이해
타임오프제의 장단점
_SLIDE_7_
2. 전임자 임금지급 금지 원칙
노조 전임자 임금 지급 금지법이란
노동조합 활동에 전념하는 노조 전임자는 단체협약으로 정하거나 사용자의 동의가 있는 경우에만 허용되며, 그 임금은 노조가 부담한다.
노조법 제24조, 제81조 제4호, 제91조 제1호
1997년에 노조법에 규정됐지만, 노동계의 반발로 1999년과 2003년에 걸쳐 세 순서나 연기된 후 2xxx년부터 시행키로 함
노조전임자란
전임기간 동안 노동조합과 관련된 업무만 하고, 원래의 근로의무는 면제받는 사람
_SLIDE_8_
2. 전임자 임금지급 금지 원칙
전임자 임금지급 금지법의 긍정적/부정적 效果
_SLIDE_9_
2. 전임자 임금지급 금지 원칙
타임오프 한도 의결 내용
_SLIDE_10…(drop)
타임오프제 , 타임오프제기타레포트 , 타임오프제
다.
레포트/기타
설명
타임오프제
순서
타임오프제,기타,레포트






타임오프제
Download : 타임오프제.pptx( 32 )
_SLIDE_1_
ㅁTime Off 제도
_SLIDE_2_
목차
_SLIDE_3_
1. 타임오프(Time-Off) 제도의 이해
타임오프제란
사(社)측이 노조 전임자의 임금 전액을 무조건 주는 것을 금지하는 대신, 노사공통의 이해가 걸린 활동에 종사한 시간을 근무시간으로 인정해 이에 대한 임금을 지급하는 제도
_SLIDE_4_
1. 타임오프(Time-Off) 제도의 이해
근무시간으로 인정되는 노조 활동 기준
_SLIDE_5_
1. 타임오프(Time-Off) 제도의 이해
타임오프제는 원래 서구에서 산업단위 산별 노조의 활동 외에 사업장단위의 제반 문제 등을 논의하기 위해 노조대표에게 지급하는 유급근로시간 면제제도임
따라서 노조활동시간 보장을 위해서라기 보다는 사업장 단위의 작업environment(환경) improvement 고충처리 등의 역할을 하는 종업원대표에게 부여하는 활동시간으로서의 의미가 큼
우리나라에서 타임오프 제도는 노조 전임자 임금 지급 금지법의 대안으로 제시되었으며 2009년 말 노사정 합의에 의해 도입돼 2xxx년 7월 1일 부터 시행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