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차 교육 과정에 따른 국어과 교과서 편찬의 방향과 활용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6 03:00
본문
Download : 제7차 교육 과정에 따른 국어과 교과서 편찬의 방향과 활용.hwp
다. 언어 사용 결과보다 과정을 중시하는 교과서
언어 사용의 결과보다 언어 사용의 과정을 중시하여 편찬하였다.
나. 학습자 자신의 창의적 언어 사용 학습을 강조하는 교과서
학습자 중심의 국어 교육 실천에 적합한 교과서를 편찬하기 위해 국어과 교육 과정의(定義) 성격, 목표(目標), 내용, 방법, 평가의 기준을 충실히 반영하고, 학습자가 국어 사용 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자신의 언어를 창의적으로 사용하는 학습을 강조하여 편찬하였다. 그리고 <말하기·듣기> 교과서는 교육 과정의(定義) 말하기 영역, 듣기 영역, 국어 지식 영역과 문학 영역의 일부 내용을, <읽기> 교과서는 읽기 영역과 문학 영역, 국어 지식 영역의 일부 내용을, <쓰기> 교과서는 쓰기 영역과 국어 지식 영역, 문학 영역의 일부 내용을 충실히 반영하여 편찬하엿다. 새로 편찬하는 교과서는 학습자의 국어 사용 능력이 선천적 요인보다는 후천적 요인에 의해 향상 가능한 것으로 보고, 교육 가능성을 중시하여 결과의 직접 제시…(skip)
레포트/사범교육
가. 국어 사용 능력의 균형 있는 향상을 돕는 교과서
Download : 제7차 교육 과정에 따른 국어과 교과서 편찬의 방향과 활용.hwp( 69 )
,사범교육,레포트
학습자가 우리말과 글을 창의적으로 사용하는 능력을 기르는 데 가장 적합한 data(資料)가 되도록...






순서
가. 국어 사용 능력의 균형 있는 향상을 돕는 교과서학습자가 우리말과 글을 창의적으로 사용하는 능력을 기르는 데 가장 적합한 자료가 되도록... , 제7차 교육 과정에 따른 국어과 교과서 편찬의 방향과 활용사범교육레포트 ,
제7차 교육 과정에 따른 국어과 교과서 편찬의 방향과 활용
설명
다. 가. 국어 사용 능력의 균형 있는 향상을 돕는 교과서
학습자가 우리말과 글을 창의적으로 사용하는 능력을 기르는 데 가장 적합한 reference(자료)가 되도록 하기 위해 <말하기·듣기>, <읽기>, <쓰기>의 세 교과서로 편찬[4~6학년의 경우 두 권 교과서]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