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학] [북한정치] 북한의 권력구조의 변화와 정치체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03 23:12
본문
Download : 북한정치론[1].hwp
Download : 북한정치론[1].hwp( 69 )
북의 정치체제와 권력 구조의 특징에 관한 글입니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순서
북한의 권력구조, 북한, 북한의 정치체제, 북한의 권력구조 변화,
설명
북의 정치체제와 권력 구조의 특징에 관한 글입니다. 다시 말하여 김일성은 지난 수십년 간의 후계체제 구축과정에 김일성의 세대, 즉 <혁명1세>와 그 자녀들중 자신의 후계자 지위를 인정하고 충성을 맹세한 자들을 행정 및 경제분야의 formula 서열상 최고위급 배치하고 대우해주면서 자신의 측근 인물들을 주로 당중앙위원회 조직 지도부를 비롯한 실질적 권력 핵심부와 군-보안-대남-외교등 체제수호의 주요 요직들의 2선에 대거 포진시키고 이들에게 무제한한 권한과 자신과의 직접거래등 특권을 보장해줌으로써 권력상층부내의 상호견제와 감시 및 충성경쟁유발구조를 축성해 놓았다. 김일성의 생존상태에서 이미 오래전부터 김정일의 권력세습이 이루어져온 북한 체제의 property(특성)으로부터 북한의 권력층은 김일성의 측근과 김정일의 측근들이 함께 포진하는 구조로 구성되게 되었다. 말하자면 북한의 모든 정책을 작성하고 집행하는 최고위층의 비측근들과 이들에 대한 감독과 통제, 인사권을 쥔 측근들의 2원화 체계가 수립됨으로써 체제수호에 상치되는 그 어떤 권력투쟁이나 정책적 도전이 싹트지 못하도록 하였다는 것이다. 1970년대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당을 먼저 장악하는 것으로 부터 스타트되어온 김정일의 권력세습과정으로 하여 북한의 권력층은 현재 김정일의 측근들의 당내 핵심적 지위의 포진과 비측근들 즉 김일성의 측근 원로들의 국가와 政府의 실권없는 최고위층 포진이라는 구조로 변화되었다.
![북한정치론[1]-5310_01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807/%EB%B6%81%ED%95%9C%EC%A0%95%EC%B9%98%EB%A1%A0%5B1%5D-5310_01_.gif)
![북한정치론[1]-5310_02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807/%EB%B6%81%ED%95%9C%EC%A0%95%EC%B9%98%EB%A1%A0%5B1%5D-5310_02_.gif)
![북한정치론[1]-5310_03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807/%EB%B6%81%ED%95%9C%EC%A0%95%EC%B9%98%EB%A1%A0%5B1%5D-5310_03_.gif)
![북한정치론[1]-5310_04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807/%EB%B6%81%ED%95%9C%EC%A0%95%EC%B9%98%EB%A1%A0%5B1%5D-5310_04_.gif)
![북한정치론[1]-5310_05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807/%EB%B6%81%ED%95%9C%EC%A0%95%EC%B9%98%EB%A1%A0%5B1%5D-5310_05_.gif)
[정치학] [북한정치] 북한의 권력구조의 변화와 정치체제
북한의 권력 상층부에 대한 고찰에서 주목해야 할 점은 formula서열과 비formula서열, 다시 말하여 김정일과의 임무상 혹은 인간적 관계에서의 비측근과 측근으로서의 명백한 구분과 차별화 문제이다.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