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감상문(report)] 한국 미술의 특질과 흐름 / 한국 미술의 특질과 흐름 최 응 천(국립춘천박물관장)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03 12:30
본문
Download : 한국미술의 특질과 흐름.hwp
감상문 한국 미술의 특질과 흐름 / 한국 미술의 특질과 흐름 최 응 천국립춘천박물관장
한국미술의 특질과 흐름 최 응 천(국립춘천박물관장) 1. 한국미술의 본질...
한국미술의 특질과 흐름 최 응 천(국립춘천박물관장) . 한국미술의 본질 한국의 고대미술에서는 추상주의적 경향과 자연주의적 경향이 함께 있거나 서로 반복되고 있따 먼저 추상적 경향이란 변형과 평면적 선화(線畵)에 대한 기호 등에서 나타나는 북방민족의 미술전통이며 이것은 한국민족이 고아시아족이거나 알타이족이란 배경에서 origin되었다기 보다는 민족 고유의 기질과 전통으로 생각된다된다. 또 간결한 형태·면과 전체적인 조화에서 오는 인상이나 효능가 세부에 대한 조심과 번잡한 기교 및 조형보다 더 중요시 된다된다. 이러한 우리 민족의 낙천주의, 또는 낙천적 세계관, 人生관은 역사적, 문...
한국미술의 특질과 흐름 최 응 천(국립춘천박물관장) 1. 한국미술의 본질...





설명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Download : 한국미술의 특질과 흐름.hwp( 45 )
순서
[ 감상문(report)] 한국 미술의 특질과 흐름 / 한국 미술의 특질과 흐름 최 응 천(국립춘천박물관장)
다. 말하자면 인공적인 것에 대한 기피가 현저하며 무념·무상이나 즉흥적인 영감에서 이루어지는 무작위(無作爲)와 같은 자연적 창조성이 존중되는 것이다. 따라서 그것은 신석기시대의 빗살무늬토기, 청동기시대에 유행한 토기의 기하학적 무늬, 신라시대의 토기에 보이는 줄무늬, 조선시대의 정감넘친 민화, 해학적인 표현의 석조조각 등에서 엿볼 수 있따 이에 마주향하여 자연주의적 경향은 남쪽 농경미술의 전통이며 우리나라에서는 청동기시대에 새로 퍼져 들어온 예맥족이 주로 한강 이남에서 농경생활을 하면서 생겨난 미술양식이라 할 수 있따 이러한 자연주의는 그 뒤 우리 한민족 미술의 기본 양식이 되었으며 시대나 분야에 따라 추상주의적 경향에 밀려난 일도 있으나 기본 조류로서 우리의 미술을 특징 지우고 있따 이렇게 우리 미술은 기본적으로 자연주의를 중심으로 하면서도 다른 민족의 미술들과 차이를 보이는 몇가지 개성과 특색을 보이고 있따 즉 재료면에서는 조각·건축에서의 화강석을 즐겨 사용한 것과 장식면에서 여백, 공간을 좋아하며 형태·구도상의 어떤 규율이나 정제성을 싫어하는 것이다. 이것은 결국 자연주의를 높은 경지에서 이루어낸 자연으로의 되돌아감이며 그것은 곧 자연과 하나로 완전히 융합되어 대자연에 자기 자신을 맡겨버리는 낙천주의라고까지 할 수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