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대표자의 협약체결권한 및 단체교섭권한의 위임 관련 판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22 21:14
본문
Download : 노조대표자의 협약체결권한 및 단체교섭권한의 위임 관련 판례.hwp
설명
레포트/법학행정
Download : 노조대표자의 협약체결권한 및 단체교섭권한의 위임 관련 판례.hwp( 86 )
노조대표자의 협약체결권한 및 단체교섭권한의 위임 관련 판례
순서
노조대표자의 협약체결권한 및 단체교섭권한의 위임 관련 판례
노조대표자,협약체결권한,단체교섭권한,위임,관련,판례,법학행정,레포트
노조대표자의 협약체결권한 및 단체교섭권한의 위임 관련 판례
1. 노조대표자의 협약체결권
1) 노조대표자의 협약체결권한 제한 가부
이 경우 가장 문제되는 것이 조합의 규약 등을 통하여 노조대표자의 협약체결권한을 제한하는 것이 가능한지의 문제이다.“
3) 인준투표조항과 단체교섭거부가 단체교섭 거부,해태의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하는지 여부
“단체교섭의 권한이 있는 자에게 단체협약을 체결할 권한이 없다고 한다면, 사용자를 상대방으로 하는 단체교섭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없으며, 결과적으로 단체교섭의 권한이라는 것 자체가 무의미한 것으로 되고 말 가능성이 있다
쌍방간의 타협과 양보의 결과로 임금이나 그 밖의 근로조건 등에 대하여 합의를 도출하더라도 다른 결정절차(노동조합의 총회의 결의)를 거쳐야만 그 합의가 효력을 발생할 수 있다는 상황에서라면, 사용자측으로서는 결정이 권한 없는 교섭대표와의 교섭 내지 협상을 회피하든가 설령 교섭에 임한다 하더라도 성실한 자세로 최후의 양보안을 제출하는 것은 꺼리게 될 것이고,
그와 같이 사용자측의 교섭회피 또는 해태를 정당한 이유 없는 것이라고 비난하기도 어렵다 할 것이다.”
2. 단체교섭권한의 위임
단체교섭권한의 위임과 관련하여 …(투비컨티뉴드 )


노조대표자의 협약체결권한 및 단체교섭권한의 위임 관련 판례 , 노조대표자의 협약체결권한 및 단체교섭권한의 위임 관련 판례법학행정레포트 , 노조대표자 협약체결권한 단체교섭권한 위임 관련 판례
다.
“노동조합의 대표자 또는 수임자가 단체교섭의 결과에 따라 사용자와 단체협약의 내용을 합의한 후 다시 협약안의 가부에 관하여 조합원 총회의 의결을 거쳐야 한다는 것은 대표자의 단체협약체결권한을 전면적 ? 포괄적으로 제한함으로써 사실상 단체협약제결권한을 형해화하여 명목에 불과한 것으로 만드는 것이어서 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 제29조 제1항의 취지에 위반된다 ”
2) 인준투표조항에 관한 시정명령
“교섭대표자가 사용자와 합의하여 단체협약안을 마련한 후에 조합원 총회의 결의를 거치도록 한 이 사건 단체협약은 법 제33조 제1항 본문의 규정에 위반되는 것이고, 따라서 그 단체협약의 변경 ? 보완을 지시한 피고의 이 사건처분은 적법한 것이라고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