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롬(Vroom)의 기대theory(이론)에 대해 설명하시오.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10-06 19:49
본문
Download : 브롬.hwp
* 과업수행을 위한 노력은 실제로 어느 정도의 성과가 나타날 것인가 하는 기대에 의해 좌우된다
순서
⑥ 능력: 어떤 과업을 성취할 수 있는 잠재력을 말한다.
① 유인가(Valence, 目標(목표)의 매력성): 보상
브롬의 기대이론, 유인가, 기대, 수단, VIE
브롬(Vroom)의 기대theory(이론)에 대해 설명하시오.
다.
⑤ 유의성(자극, 태도, 기대효용): 어느 개인이 특정결과에 대해 갖는 선호의 강도를 말한다.


* 2차적 산출(제2수준의 성과): 1차 수준의 성과가 가져올 결과를 말한다.
③ 기대(expectancy)
* 1차적 산출이 2차적 산출을 가져오게 되리라는 주관적인 확률치를 말한다.
* 특별한 산출이나 보상을 바라는 욕구의 강도: 특정한 目標(목표), 결과, 보상에 대한 열망의 정도를 말한다.
4. VIE에 influence(영향)을 주는 것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Download : 브롬.hwp( 53 )
* 성과기대치(노력과 성과의 관계): 과업에 관련된 노력이 어떤 수준의 성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신념의 강도: 기대라고 하며, 가능성이 없으면 0, 확신이 있으면 1이다.
* 제1수준의 성과(과업의 수행)는 그 자체로서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니라, 제2수준의 성과(보상)를 얻기 위한 수단이다.
5. 교육적 시사점
구성되어 있습니다.
3. 동기의 구성요소
3. 동기의 구성요수
* 특정행위에 특정결과가 나오리라는 가능성 또는 주관적 확률과 관련된 믿음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이론적 논의, 기본가정, 동기의 구성요소, VIE에 영향을 주는 것, 교육적 시사점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브롬(Vroom)의 기대theory(이론)에 대해 요약, 정리하였습니다.
설명
* 보상기대치(성과와 보상의 관계): 과업수행의 1차적 산출의 결과로 오게 될 특별보상에 대한 열망의 강도: 수단이라고 하며, 매우 높으면 +1, 매우 낮으면 -1, 관계가 없으면 0이다.
브롬(Vroom)의 기대이론(理論)
1. 이론(理論)적 논의
② 수단(instrumentality): 보상기대
④ 산출: 어떤 작업행동의 최종 결과
VIE에 effect을 주는 것, 교육적 시사점등으로
* 1차적 산출(제1수준의 성과): 일 자체와 관련된 직접적인 결과를 말한다.
2. 기본가정
* 2차적 산출(보상)에 대한 열망의 정도: 동일한 보상에 상대하여도 개인마다 유인가가 다르다.
구체적으로 theory(이론)적 논의, 기본가정, 동기의 구성요소,
브롬(Vroom)의 기대이론에 대해 요약, 정리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