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 도덕 교육론 - 공리주의, 그리고 다수결의 원칙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7-11 10:37본문
Download : [교육학] 도덕 교육론 - 공리주의, 그리고 다수결의 원칙.hwp
왼쪽칸에는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스토아학파, 칸트 등의 이성론가들을 적고, 오른쪽칸에는 소피스트, 에피쿠로스학파, 공리주의 등의 학자들을 적었다.레포트/사범교육
[교육학] 도덕 교육론 - 공리주의, 그리고 다수결의 원칙
순서
도덕 교육론
공리주의, 그리고 다수결의 원칙
목차-
Ⅰ. 선정한 이유
Ⅱ. 공리주의 이론(理論)
Ⅲ. 사례(instance)탐구
Ⅳ. 현장적용
Ⅰ. 선정한 이유
고등학교때 처음으로 철학가들에 상대하여 배우게 되었다. 그때 나는 철학가들을 더 빠르고 쉽게 외우기 위해서 종이를 세로로 반으로 나누어 철학가들을 나눠적었다. 이성과 절대 선을 주장하는 칸트와 대비되는 공리주의는 나에겐 ‘공산주의’와도 이미지가 맞물려 조금 부정적으로 인식되어졌다. 나는 그동안 나 자신도 모르게 ‘이성’…(생략(省略))
![[교육학]%20도덕%20교육론%20-%20공리주의,%20그리고%20다수결의%20원칙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90%EC%9C%A1%ED%95%99%5D%20%EB%8F%84%EB%8D%95%20%EA%B5%90%EC%9C%A1%EB%A1%A0%20-%20%EA%B3%B5%EB%A6%AC%EC%A3%BC%EC%9D%98,%20%EA%B7%B8%EB%A6%AC%EA%B3%A0%20%EB%8B%A4%EC%88%98%EA%B2%B0%EC%9D%98%20%EC%9B%90%EC%B9%99_hwp_01.gif)
![[교육학]%20도덕%20교육론%20-%20공리주의,%20그리고%20다수결의%20원칙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90%EC%9C%A1%ED%95%99%5D%20%EB%8F%84%EB%8D%95%20%EA%B5%90%EC%9C%A1%EB%A1%A0%20-%20%EA%B3%B5%EB%A6%AC%EC%A3%BC%EC%9D%98,%20%EA%B7%B8%EB%A6%AC%EA%B3%A0%20%EB%8B%A4%EC%88%98%EA%B2%B0%EC%9D%98%20%EC%9B%90%EC%B9%99_hwp_02.gif)
![[교육학]%20도덕%20교육론%20-%20공리주의,%20그리고%20다수결의%20원칙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90%EC%9C%A1%ED%95%99%5D%20%EB%8F%84%EB%8D%95%20%EA%B5%90%EC%9C%A1%EB%A1%A0%20-%20%EA%B3%B5%EB%A6%AC%EC%A3%BC%EC%9D%98,%20%EA%B7%B8%EB%A6%AC%EA%B3%A0%20%EB%8B%A4%EC%88%98%EA%B2%B0%EC%9D%98%20%EC%9B%90%EC%B9%99_hwp_03.gif)
![[교육학]%20도덕%20교육론%20-%20공리주의,%20그리고%20다수결의%20원칙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90%EC%9C%A1%ED%95%99%5D%20%EB%8F%84%EB%8D%95%20%EA%B5%90%EC%9C%A1%EB%A1%A0%20-%20%EA%B3%B5%EB%A6%AC%EC%A3%BC%EC%9D%98,%20%EA%B7%B8%EB%A6%AC%EA%B3%A0%20%EB%8B%A4%EC%88%98%EA%B2%B0%EC%9D%98%20%EC%9B%90%EC%B9%99_hwp_04.gif)
![[교육학]%20도덕%20교육론%20-%20공리주의,%20그리고%20다수결의%20원칙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90%EC%9C%A1%ED%95%99%5D%20%EB%8F%84%EB%8D%95%20%EA%B5%90%EC%9C%A1%EB%A1%A0%20-%20%EA%B3%B5%EB%A6%AC%EC%A3%BC%EC%9D%98,%20%EA%B7%B8%EB%A6%AC%EA%B3%A0%20%EB%8B%A4%EC%88%98%EA%B2%B0%EC%9D%98%20%EC%9B%90%EC%B9%99_hwp_05.gif)
![[교육학]%20도덕%20교육론%20-%20공리주의,%20그리고%20다수결의%20원칙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90%EC%9C%A1%ED%95%99%5D%20%EB%8F%84%EB%8D%95%20%EA%B5%90%EC%9C%A1%EB%A1%A0%20-%20%EA%B3%B5%EB%A6%AC%EC%A3%BC%EC%9D%98,%20%EA%B7%B8%EB%A6%AC%EA%B3%A0%20%EB%8B%A4%EC%88%98%EA%B2%B0%EC%9D%98%20%EC%9B%90%EC%B9%99_hwp_06.gif)
[교육학] 도덕 교육론 - 공리주의, 그리고 다수결의 원칙
설명
Download : [교육학] 도덕 교육론 - 공리주의, 그리고 다수결의 원칙.hwp( 49 )
교육학,도덕,교육론,공리주,그리고,다수결,원칙,사범교육,레포트
[교육학] 도덕 교육론 - 공리주의, 그리고 다수결의 원칙 , [교육학] 도덕 교육론 - 공리주의, 그리고 다수결의 원칙사범교육레포트 , 교육학 도덕 교육론 공리주 그리고 다수결 원칙
다.
공리주의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가진 것
도덕 교육론
공리주의, 그리고 다수결의 원칙
목차-
Ⅰ. 선정한 이유
Ⅱ. 공리주의 이론(理論)
Ⅲ. 사례(instance)탐구
Ⅳ. 현장적용
Ⅰ. 선정한 이유
고등학교때 처음으로 철학가들에 상대하여 배우게 되었다. 나는 보다 쉽게 외우기 위해 칸을 나누었지만, 실은 선과 악을 가르듯이 종이를 반으로 가른 것이었다. 왼쪽칸에는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스토아학파, 칸트 등의 이성론가들을 적고, 오른쪽칸에는 소피스트, 에피쿠로스학파, 공리주의 등의 학자들을 적었다. 나는 보다 쉽게 외우기 위해 칸을 나누었지만, 실은 선과 악을 가르듯이 종이를 반으로 가른 것이었다. 그때 나는 철학가들을 더 빠르고 쉽게 외우기 위해서 종이를 세로로 반으로 나누어 철학가들을 나눠적었다. 나는 그동안 나 자신도 모르게 ‘이성’적으로 살아야 한다고 학습했고, 따라서 ‘감성’을 중시하는 학파들은 내게 부정적으로 다가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