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근현대문학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7-11 07:05
본문
Download : 한국근현대문학사.ppt
한국근현대문학사 , 한국근현대문학사인문사회레포트 , 한국근현대문학사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한국근현대문학사,인문사회,레포트
한국근현대문학사
한국근현대문학사
순서






1910년대 『매일신보』연재소설의 대중성 획득 과정 연구
한국 근현대 문학사
`목 차`
1. 서론
2. 1910~1911년 『매일 신보』의 소설 연재
3. 1912~1913년 소설의 이원화와 삽화의 출현
4. 1914~1916년 번안 소설의 시대
5. 1917년 이광수 `무정`의 탄생과 새로운
독자층의 형성
6. conclusion
매일 신보가 뭐얌
『매일 신보』1904년 탄생한 구한말 대표적 항일 신문.
한일 합병 후 조선 총독부의 기관지로 발행됨.
식민 정책 선전
통감부 시책 홍보
식민지 동화정책실시
를 위한 매체
어떻게 하면
독자수를
늘릴 수 있지
연재 소설
(신소설)
신문 1면 순국문체
자극ㆍ선정적 스토리
→ 당대 대중文化(문화)의 성격 형성에 기여
소통
文化(문화) 형성
1. 서론 2. 1910~1911년 『매일 신보』의 소설 연재 3. 1912~1913년 소설의 이원화와
신문의 탄생 = 근대적인 문학의 탄생
『매일 신보』
→ 신속한 유통과 생산 방식으로 당시 문학의 수용자층 대중적으로 넓힘
1910년 10월
`화세계`
1917년 1월
`무정`
다양하게 변모함!
1.서론 2. 1910~1911년 『매일 신보』의 소설 연재 3. 1912~
`화세계`
1910.10.12~1911.1.17
선음자
`월하가인`
1911.1.18~4.5
하관생
`화의 혈`
1911.4.6~6.21
석춘자
`구의산`
1911.6.22~9.28
신안생
`소양점`
1911.9.30~11.10
우산거사
이 해 조
작가의 소설에 대한 생각 서문, 후기에 싣기 스타트.
다음 작품 예고 싣기 스타트
`서문`
있는
사실의
‘기록’
`마지막회`
‘빙공착영’
소설의
‘허구성’
계몽 + 흥미
→ ’재미’와 ‘계몽’이라는 결과만 있다면
사실이든 허구든 좋다.
소설이 독자 수를 늘리는데 중요한 …(省略)
Download : 한국근현대문학사.ppt( 50 )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