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부안에서 일어난 두가지 반대운동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7 04:51
본문
Download : 전북 부안에서 일어난 두가지 반대운동.hwp
핵폐기장이 들어서면 이런 경제적 어려움이 장기화될 것이라는 두려움 때문에 주민들은 당장의 생업을 중단하고, 학업도 중단하는 과격성을 보일 수 있었던 것이다. 실제로 위도에 핵폐기장이 들어선 것도 아닌데 부안산 농산물이 반품되고, 격포·변산 등 관광지의 숙박 예약이 거의 모두 취소되면서 실제 수입이 급감하는 사태에 이르게 된 것이 부안 투쟁의 격화를 불러일으켰다. 이것은 3~4억의 보상금을 약속받은 핵폐기장 유치 지역인 위도 주민들이 오히려 찬성 입장에 섰다는 사실에서도 잘 드러난다.
전북 부안에서 일어난 두가지 반대운동
레포트/생활전문
,생활전문,레포트
순서
설명
Download : 전북 부안에서 일어난 두가지 반대운동.hwp( 55 )
새만금 부안새만금부안 , 전북 부안에서 일어난 두가지 반대운동생활전문레포트 ,
새만금 부안
1. 문제제기
2. 부안 핵 폐기장 반대 운동
(1) 경 과
(2) 왜 반대하는가.
(3) 부안 운동의 성과
3. 새만금 반대운동
(1) 진행상황
(2) 주민들의 입장
4. 두 운동의 조건과 성격에 관한 분석
(1) 핵폐기장 반대운동
(2) 새만금 반대운동
(3) 무엇이 다른가
5. 가능성의 모색 - 부안의 두 운동을 통해서
6 conclusion - 민주주의의 확립을 통한 環境문제 해결방식의 모색
(1) 핵폐기장 반대운동
우선 핵폐기장 반대운동에는 세계에서 곳곳에서 일어났던 원전 사고들이 주민들에게 주는 공포감과 혐오감이 내면에 자리 잡고 있다아 원전 사고가 발생하면 이 지역에서 기형아가 나오고, 방사능에 오염된 농산물이 생산된다는 주민들의 말에는 이 지역을 오염시킬 수 없다는 향토주의가 녹아있다아 상대적인 저발전 지역이기 때문에 오히려 깨끗한 環境과 수려한 경관을 유지할 수 있었다는 주민들의 한숨 섞인 자랑은 이 지역을 한 번에 오염시킬 수 있는 핵시설이 들어오면 안되는 근거로 활용되고 있었다. 농·어업, 관광업, 요식업, 숙박업 등을 막론한 직접적인 경제적 손실의 경험이 핵폐기장 시설이 안전하다는 政府(정부)와 지자체의 회유와 보상의 논리에 부안군민들이 설득되지 않은 가장 큰 이유라고 볼 수 있다아 경제적 손익뿐만 아니라 지역 이미지, 부안인들의 대외 이미지의 실추 역시 부안 투쟁이 격렬하고 광범한 색깔을 갖는 사람들을 묶어낼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다. 누가 부안에 올 것이며, 누가 남아있겠냐는 걱정, 부안 출신 사람과 누가 결혼하겠냐는 걱정들은 이런 모습을…(drop)






새만금부안
다. 매일같이 촛불시위에 참여하는 바람에 이 지역 경제가 완전히 파탄 지경에 이르렀다는 탄식과 동시에 그렇게라도 해서 막지 않았으면 정말 막대한 손해를 입을 뻔했다는 안도의 감정은 지역을 불문하고 모든 주민들의 인터뷰 과정에서 나타났다.
하지만 향토주의적 성격보다 더 우선적인 규정력을 갖는 것은 경제적 합리성의 측면이었다.